. 언어학의 하위영역
. 소리 - 음성학, 음운론
. 의미 - 의미론, 화용론
. 구조 - 형태론, 통사론
. 의미론 : 문자적 의미
. 화용론 : 문맥적 의미
. 형태론 : 단어, 어절
. 통사론 : 문장구조
. 음성인식
. 전산음성
. 전산음운
. 음성학 : 물리적 소리
. 음운론 : 지식으로 알고 있는 소리
. 이론언어학(theoretical linguistics)
. 언어기호는 소리와 의미의 결합이므로 언어에는 소리의 측면과 의미의
측면이 있음.
. 음성학(phonetics)
. 언어에 사용되는 객관적 소리 자체인 음성을 소리 내는 방법이나
음성의 음향적 성질을 연구하는 분야
. 음운론(phonology)
. 언어의 소리 체계에 대한 연구
. 어떤 소리는 언어 체계 내에서 다른 소리와 구별되어
의미를 전달하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 음소 : 그 소리를 혹은 언어체계 내에서 기능을 갖는 소리
. 기표 : 소리
. 기의 : 의미
. 이론언어학(theoretical linguistics)
. 소리의 반대편에는 의미의 연구가 있음.
. 의미론(semantics)
하나의 문장 혹은 그 요소(형태소, 단어, 어절, 구, 절)의 의미를 연구
. 화용론(pragmatics)
단어나 문장은 언어 시스템에서 가지는 문자적인 뜻 외에 특정한 맥락에서
쓰일 대 가지는 의미가 있는 데, 맥락에서의 언어 사용과 확장된 의미의
문제를 연구
. 이론언어학(theoretical linguistics)
. 소리와 의미의 결합인 언어 기호는 단어의 층위뿐만 아니라 다른 언어기호와
결합하여 더 큰 언어 기호, 즉, 언어표현(구, 문장)을 만들어 낼 수 있다.
. 형태론(Morphology)
단어보다 작은 단위에서 언어기호를 연구, 의미를 지닌 최소 문법 단위인 형태소인데,
단어 구성을 위한 형태소의 결합문제를 연구하는 분야.
ex) 잡-으시-었-겠-다(어간-존대-과거-추정-단언)
단어 이하를 다룸
. 통사론(syntax)
문장 구성을 위한 단어와 단어의 결합의 형식적인 측면을 연구
단어 이상을 다룸
. 음성학(Phonetics)
. 음성(speech sound) : 언어의 소리를 연구
. 언어를 통한 의사소통 상황에서
. 조음음성학 : 화자는 자신의 생각을 소리로 만들어 청자에게 전달
. 청취음성학 : 청자는 소리를 듣고 화자의 생각 즉 의미를 파악
. 음향음성학 : 소리가 공기를 통하여 전달되는 과정
. 음성학(Phonetics)
. 조음음성학
. 가장 전통적이고 지금도 가장 많이 연구됨
. 음성이 조음하는 방법에 다라 어떻게 만들어지는 지 그 과정을 연구
. 음성이 발음될 대의 발음기관의 모양에 따라 분류하고 그 과정을
기술하는 방법을 취함.
. 언어의 소리를 연구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전통적인 방법.
. 청취음성학
. 청자가 귀로 소리를 듣고 그것을 음성으로 파악하는 과정을 연구
. 귀의 해부학적 구조와 신경전달에 관한 지식이 필요한 분야로 언어학자들
보다 신경학자나 의학자들의 관심 분야.
. 언어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언어 병리학이 주요부분
. 언어학에서는 잘 연구하지 않음.
. 음향음성학
. 공기를 통해 전달되는 소리 자체의 물리적 특성을 연구
. 음성이란 주파수의 파장을 갖는 일종의 파동이므로 파동의 일반적 특성을
연구하는 물리학의 연구와 일치하는 부분이 있다.
. 비교적 최근에 발달한 분야로 음성의 물리적 연구를 위해서는 녹음기,
음성을 기게적으로 분석하는 스펙트로그래프(1940년대 발명) 등
음향 분석기등을 사용.
. 조음음성학
. 발음기관(Organ of speech)
. 발동부 : 공기를 움직이게 하는 부분(폐, 후두, 후부구강)
. 발성부 : 소리(voice)를 발성하는 부분(성대)
. 조음부 : 발성된 소리를 조음하는 부분(구강, 비강)
. 발음기관
. 폐에서 나온 공기의 흐름은 입이나 코를 통해 밖으로 나오기까지 조음기에
의해 여러 가지 말소리로 변한다.
. 폐를 떠난 공기가 처음 만나느 조음기는 기관지 상단에 있는 후두이며,
후두는 연골로 된 조직으로 그 안에 두 개의 엷은 막인 성대를 가지고 있다.
성대의 두 엷은 막 사이의 간격을 성문이라고 함. 이 엷은 막을 긴장시키고
그 사이로 공기를 밀어내어 진동을 일으키면 소리가 남.
. 성문을 통과한 공기의 흐름이 인두의 윗부분에 도달하면 비강과 구강이라는
두 개의 갈림길을 만남
. 비강에는 조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분이 없지만
구강에는 '입천장'과 '혀'라는 중요한 부분이 있음.
. 발음기관
. 입천장
. 치경 : 윗앞니의 바로 뒤에 있는 볼록한 부분
. 경구개 : 치경뒤에 있는 딱딱한 입천장
. 연구개 : 경구개와 목젖 사이에 있는 근육으로 된 입천장
. 혀
. 혀끝 : 혀의 맨 앞부분
. 전설 : 경구개와 맞닿는 혀의 부분
. 후설 : 연구개와 맞닿는 혀의 부분
. 설근 : 인두의 압벽을 이루는 부분
. 이, 입술
. 모음의 분류
. 모음 : 공기의 흐름이 장애를 받지 않을 대 나는 소리
공기의 저항을 받지 않음.
. 혀의 높낮이와 개구도에 따른 구분.
. 혀의 높이
. 고모음(high vowel)
. 중모음(mid vowel)
. 저모음(low vowel)
. 개구도
. 폐모음(close vowel)
. 반폐모음(half-close vowel)
. 개모음(open vowel)
. 입술 모양
. 평순모음
. 원순모음
. 자음의 분류
. 양순음
. 순치음
. 치음
. 치경음
. 경구개(palatals)음
. 연구개(velars)음
. 성문(glottals)음
. 폐쇄음(stops)/파열음(plosive)
. 마찰음(fricatives)
. 파찰음(afficates)
. 유성음(voiced)
. 무성음(unvoicde)
. 유기음(aspirated)
. 무기음(unaspirated)
. 비음(nasal sounds)
. 구강음(oral sounds)
. 유음(liquids)
. 전이음(glides)
. 분절음 - 자음, 모음
. 초분절음 - 강세, 억양, 성조, 음의 길이, 운율
. 성조 - 경상도 방언에 있다.
. 성조언어 - 성조의 차이가 의미의 차이를 가져옴
. 음향음성학
. 공기 중의 음파를 기계로 잡아서 음파의 물리적 특성을 연구
. 음향분석기(sound spectrograph)를 사용
. 음향분석기에 의해 소리의 사진이 얻어짐
. 음성학과 음운론의 차이
. 음성학(phonetics)
언어에 사용되는 객관적 소리 자체인 음성을 소리 내는 방법이나
음성의 음향적 성질을 연구하는 분야
. 음운론(phonology)
언어의 소리 체계에 대한 연구
어떤 소리는 언어 체계 내에서 다른 소리와 구별되어
의미를 전달하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언어 사용자는 그 소리를 구별할 수 있음.
. 음소 : 언어사용자의 지식으로서의 소리 혹은
언어체계 내에서 기능을 갖는 소리
. 음성과 음소의 차이
. 음성 : 언어의 소리 그 자체
. 음소 : 언어사용자가 아는 지식으로서의 언어음으로 의미의 차이를
초래하는 개별음
변별력을 가져야 함. 변별력이 없으면 음소가 아님.
. 이음 : 음성적 실현은 다르지만 의미는 같다.
. 상보적 분포 : 둘 중 하나만 올 수 있다.
. 변별자질(distinctive feature)
. 구별을 위해 필요함.
. 잉여자질(redundant feature)
. 구별이 안됨.
. 음소
. 언어사용자가 아는 지식으로서의 언어음으로 의미의 차이를 초래하는
변별적인 최소 단위(개별음)
. 심리적 정의 - 언어사용자가 인식하는 혹은 아는 소리
. 기능적 정의 - 음소는 의미의 분화 기능을 한다.
. 분포적 정의 - 비상보적 분포를 이루는 것은 음소이다.
. 최소대립쌍
. 음소 발견을 위해 가장 많이 스이는 방법
. 한소리만 다르고 나머지 소리들은 같은 한 쌍의 단어 도는 형태소
. 이음(allophone)
. 주어진 환경으로부터 예측할 수 있는 잉여 자질로써 구별되는 말소리의 단위
. 상보적 분포
. 모든 소리에 대해 최소대립상을 찾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 머저와 마저
. 일본어는 모음이 적어서 외국어를 잘 못 발음한다.
. 가장 값싼 소리?
. 아무데나 집어넣는 소리, 가장 발음이 쉬운 소리.
. 한국어 : 으
. 일본어 : 우
. 모음조화(Vowel harmony)
. 비슷한 모음끼리 어울려야 좀 더 안정되고 완전한 발음이 된다.
. 축약의 묘미
. 충청도, 경상도 방언은 축약이 많다.
. 형님이예요? => 햄인교?
. 선생님 => 셈
. 갔어요 => 갔슈
. 그랬어요 => 그랬슈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