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례
. 문자의 장점
. 문자의 발달 과정
. 제 1기 : 기억 보조의 시기
. 제 2기 : 그림문자의 시기
. 제 3기 : 표의문자의 시기
. 제 4기 : 표의문자에서 표음문자로 넘어가는 시기
. 제 5기 : 표음문자의 시기
. 필경사
. 음성언어와 문자 언어
. 문자의 장점
. 라틴 속담 : "입에서 나온 말은 날아가 버리고, 쓰여진 말은 남는 다."
(Verba volant, scripta menent)" - 기록의 중요성
. 프랑스 언어학자 Fevrier : 문자란 분절적이면 본질적으로 순간적인 말을
고정하기 위하여 쓰이는 수단, 즉, 말을 적어 내는 것이요, 말과 그 음성을
재생할 수 있는 것이다. (요즘은 녹음기나 비디오도 가능)
. 문자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ㅇ낳고 정보를 저장 할 수 있다.
. 언어 집단의 구성원들은 학습을 통하여 문자를 이해할 수 있다.
. 말은 자연스럽게 습득되지만 문자는 학습해야함.
- 언어와 문자의 차이
. 인간의 기억이 보존할 수 있는 정보의 양에는 한계가 있지만 문자에는 한계가 없다.
- 시험, report, 숙제를 할 때도 이용
. 문자는 그림으로부터 시작
. 초기에는 특권계급만 문자를 사용
. 문자의 발달 과정
. 제 1기 : 기억 보조(memory aid)의 시기
. 조개껍질이나 노끈, 사자봉 등의 기억보조장치를 이용하여
의사를 전달한 원시적 서기법이다. 언어를 시각적으로 표현해보려는
문자태동기의 원시형태의 문자
. 대표적 보조 장치 : 결승, 사자봉, 패대
. 결승(quipus) - 긴 새끼에 여러가지 색으로 염색한 노끈을 일정한 약속하에
결승함으로써 색과 맺는 방법, 매듭과 매듭 사이의 간격 등으로 상호간의
약속이나 결정 사실을 보유해 두는 방법
. 고대 중국, 고대 페루, 티베트, 아프리카 에부족, 호주 등에서 사용
. 페루에서는 현재도 양(sheep)을 헤어힐 때 수건으로 매듭을 표시
. 일본 오끼나와에서 발견된 결승의 그림
. 매듭, 패대(조개)
. 사자봉(messanger stick)
. 나무판이나 몽둥이에 여러 모양으로 새김을 나타내거나 여러 나무를 모아서
우물정자 모양으로 만들고 채색하거나 나무의 수나 크기에 따라서 기억을 재생시킴으로써 의사를 전달하는 방법
. 오스트렐리아, 아프리카 지방의 토인들이 사용
. 패대(wampum)
. 조개껍질이나 구슬을 끈으로 매달아 기억을 보조하며, 크기, 색깔에 따라서
복잡한 내용을 정밀하게 나타냄.
. 말하는 사람이 자기 용건의 수대로 조개나 구슬을 노끈에 꿰어 한 용건이
끝날 때마다 그 자개를 맞은 편에 건네주면서 상담한다. 이 패대는 신성한
재판을 할 때에 비망적으로 사용하는 일종의 표식
. 흰색은 평화, 붉은 색은 전쟁, 검은색은 죽음, 황색은 곡물,
녹색은 곡물을 나타냄. - 현재도 비슷한 의미를 나타냄.
. 예) 두 개의 조개껍질을 등을 맞추어 묶으면 '빨리 공물을 가지고 오라'는 뜻
. 네 개를 두 개씩 맞대어 묶으면 '화해'의 뜻
. 아프리카, 아메리칸 인디언, 호주, 스칸디나비아, 아이누족 등이 사용
. 인디언 패대의 예
. 수메르 시대의 물표와 비슷함.
. 제 2기 : 그림문자(pictogram)의 시기
. 어떤 사물을 그림으로 나타내는 회화적 재현의 방법을 택한 시기
. * : 태양을 의미함.
. 실물에 가까운 그림을 그림으로써 사물을 나타내는 그림문자.
좁은 의미의 원시적 회화에 한정함
(넓은 의미의 pictograph(모든 그림)와 구별됨).
. 아메리칸 인디언, 호주 원주민, 아프리카 일부 종족은 메시지를
나무껍질이나 동물 가죽, 암성 등에 흔적을 남김.
. 예술로서의 원시회화와 문자로서의 원시회화는 구별됨,
문자로서의 그림은 정보 전달의 목적이 있으므로 상투적인 그림이 많이
등장하며 통보에 필요 없는 배경이나, 산, 나무 등이 생략됨.
. 그림이 인습화, 규약화함에 따라 체계를 갖추게 되고 일정한 그림을
기본형태로 하여 완전한 그림문자가 됨.
(그림처럼 자유롭지 않음.)
. 추장 마이엥카의 원정공격 기록 - 아메리카 인디언 - 사냥과 포획물
. 수메르, 이집트, 중국의 그림 문자.
. 제 3기 : 표의문자(ideogram)의 시기
. 그림문자의 추상화 시기, 사물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그림문자에서 발전하여
그림이 사물만을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그 사물과 관련된 개념도 표시하게
되는 데, 그림이 하나의 상징적 부호로 발전한 시기의 글자.
. 상징하고 기호와 실체 사이에 어느 정도 유사성을 가지고 있음.
. 중국의 한자는 대표적인 표의 문자.
. 예를 들어, '해'를 가리켰던 그림문자가 '빛', '열', '낮' 등의 개념도
뜻하게 된다. 그림문자는 구체적인 사물은 나타낼 수 있지만 추상적인 개념은
그림문자로 나타낼 수 없으므로 개념을 뜻하는 표의문자가 등장함.
. 밝을 명이 '해'와 '달'보다는 '밝음, 똑똑함'을 뜻하고
. 동녘동이 '나무에 걸린 해'가 아니라. east를 뜻하게 됨.
. 중국어는 말의 소리를 기호로 적는 문자가 아니라 의미를 기호로 나타내는
문자이므로 이런 표의문자는 장단점이 잇음.
. 장점 : 중국처럼 방언이 많아 의사소통이 어려운 지역에서는 말이 통하지
않아도 의미를 나타내는 문자를 사용하면 의미가 전달됨
=> 광동어, 북경어
. 단점 : 의미의 차이에 따라 각각의 다른 부호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수의 문자를 외워야 함. 최소한 2,000여자의 기본 문자를 외워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문맹퇴치에 어려움이 잇음.
. 단어문자(logogram: logographic writing)
. 하나의 기호가 하나의 단어를 상징하던 문자.
. 예를 들어, 최초의 태양을 *로 표시하던 그림문자와 O로 표시하던
표의문자는 하나의 그리부호가 '태양' 혹은 '낮', '열' 등의 단어를
의미하므로 단어문자라 함.
. 1,2,3 등의 숫자, $, %, +, -, =
. 현대의 그림문자 - 세계 만국어로 ISO 표준이 있다.
. 다방, 흡연장소, 공중전화, 식당, 화장실, 비상구
. 제 4기 : 표의문자에서 표음 문자로 넘어가는 시기
. 설형문자(쐐기문자)와 상형문자
. 여러 문자체계가 공존하게 됨, 중간단계.
. 문자가 사물을 시각적으로 표상하는그림에서 출발하여
소리를 표상하는 기호로 가는 중간 단계에 설형문자와 상형문자가 있음.
. 그림문자에서 설형문자까지
. 수메르의 설형문자(cuneiform 18세기 Kampfer에 의해 명명됨;
라틴어 cuneus '쐐기'에서 옴)
.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기원전 3,300년 경부터 3,000년 이상 동안 사용
. 수메르인이 가축의 숫자나 곡식의 양 등을 표시하기 위해 점토판 위에
사용하던 문자. (물표 -> 항아리 -> 점토판)
. 나무나 갈대 끝을 뾰족하게 삼각형 모양으로 만들어 점토판에 표시한 것으로
그 삼각형의 모습을 따서 '쐐기' 같은 모양이라고 하여 쐐기(설)물자 또는
설형문자라고 함.
. '발'은 걷다. '일어서다'에서 '움직이다'의 뜻으로 사용되었으며,
그 결과 기호의 수는 줄어들게 되어 약 600여 개의 기호가 사용됨
. 수메르인이 최초로 사용했던 문자는 일종의 표의문자였으나 기원전
2600년 경 쿠심(Kushim) 점토판의 발견 이후로 문자는 사물을 직접
그림으로 표상하는 것이 아닌 소리를 표상하는 글자가 됨.
. 기호 수가 줄면 ambiguity(불분명)이 생김
. 하나의 단어가 여러 의미를 나타냄 - 동음이의어
. 과도기라서 여러 종류의 문자가 섞여 있음.
. 레부스(rebus; 수수께기 문자) - 레부스 시스템
. 진정한 문자 체계의 초석
: 대상을 의미하는 기호를 직접 표기하는 것이 아니라 대상의 소리를
그대로 전사하는 새로운 기호 체계로 발전
. 표의문자 체계에서 표음문자 체계로 넘어가는 과도기의 기호 체계
. 예) Car+Pet = '카페트'
'수레'와 '애완동물'을 나타내는 설형문자를 나란히 적으면 '카페트'란
소리를 그대로 옮겨 적는 셈이 된다.
. 예) 4 + 자(물건의 길이를 재는 자) = 사자(lion)
. 레부스 체계는 이즙트의 상형문자에도 많은 영향을 줌.
. 암행어사의 비밀
. 처녀가 어사의 정체를 알기 위해 밥상을 차려줌
. 밥에 올린 뉘(쌀 속에 겉껍질이 벗겨지지 않는 쌀) 세 개로 시작된 물음.
(뉘 x 3 = 뉘세요? (= 누구세요?))
. 어사의 답 : 물고리 네 마리 - 생선 네조각 = 어사
. Sumerian 설형문자의 진화
. 갈수록 추상화 됨
. 이집트의 상형문자(hieroglyph, 히에로글리프)
. 그리스어의 'hiero 성스럽다'와 'glyphikos 새긴다'가 합쳐서 생긴 이름
으로 '신성한 문자'를 뜻함.
. 상형문자의 해독 - 로제타 석
(표음, 표의, 상징 3가지 문자가 섞여 있음.)
. 상형문자는 중세 이후 근대 초반까지 쟝 프랑수와 샹폴리옹
(Jean Francois Cahmpollion, 1799)이 알렉산드리아시 근처의
로제타 마을에서 로제타 석을 발견, 25년 후인 1824년 문자를 해독하기
전까지는 단순한 그림문자나 표의문자로 인식됨.
. 그러나 상형문자는 구체적인 대상뿐만 아니라 추상적인 개념까지도
완벽하게 나타낼 수 있었음 - 농업, 법전, 교육, 종교, 예배, 기타 문학
일반 등 구어를 모두 기록할 수 있었음.
. 표의문자와 표음문자가 혼합되어 잇음.
. 1801년 나폴레옹을 패배시킨 영국군이 약탈하여 감.
=> 대영박물관 소장
. 각 상형문자가 알파벳과 대응됨.
. 이집트 상형문자의 예
. 표의문자 : 오리는 구체적인 대상을 그림으로 옮긴 표의 문자.
. 상징문자 : '태양의 오리'가 아니라 '파라오의 아들'
(오리는 '아들'을 상징함)
. 표음문자 : 오리가 'SA'라는 소리를 갖는 다.
. 표음문자의 자모를 나타내는 것처럼 보이지만 모음을 표시하지 않았으므로
각 문자는 음절을 나타낸다.
. 독수리는 A의 음가를 가지고 있지만 '소리가 약한 자음'으로
이러한 모음이 없는 특징은 페니키아 문자와 아랍문자에도 그대로 남아있다.
. 모음의 수가 적거나 약한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자음 사이의 생략된
모음을 대충 집작하거나 암기하고 있다.
. 히브리어의 야훼는 YHWH로 표기하지만 읽은 때는 '야훼'로 읽는 다.
. p = pa, pe, pi, po, pu
. 현대 모음생략의 예
. bldg = building, hdqrs = headquaters
. 상형문자의 기호는 처음에는 700여개에서 나중에는 7천여개까지 증가함.
. 이집트의 문자로 살펴본 표음 문자
. 그림문자가 '의미'를 나타내는 것에서 '소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바뀌는 과정은 이집트의 문자를 예로 살펴 볼 수 있다.
초기의 이집트 문자는 앞의 표에서 살펴보았듯이 일정한 대상의 형태를
모방한그림 문자였다. 그러나 이집트 문자는 점차 발전하면서 의미가
아닌 소리의 기호로 바뀌기 시작했다.
. 상형문자의 소리 - 클레오파트라, 알렉산드르.
http://www.hieroglyphs.net/
. 테두리를 치면 왕의 이름
. 이집트 상형문자 알파벳과 그 소리값
. 앞 페이지의 예 : '알렉산드르'와 '클레오파트라'에 해당하는 이집트 문자이다.
이 문자는 언뜻 보기에 그림과 기호를 뒤섞어 놓은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글쓰기의 방향과 기호의 발음을 알고 나면 이 문자가 매우
과학적임을 알 수 있다.
. 제시한 자료에는 사자와 새 모양의 형태나 이 그림은 사자나 새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사자와 새 모양의 형태는 그 자체가 아무런 의미를 지니고 있지
않은 소리의 기호일 뿐이다. 이집트 문자의 아래에 적어 놓은 알파벳과
비교해보면, 사자 그림이 알파벳의 'L'에 해당됨을 알 수 있다.
. 이집트 문자의 세계 전파
. 이집트의 문자는 이렇게 의미를 나타내는 문자에서 소리를 나타내는 문자로
발전하면서 세계 여러 나라로 전파되었다. 현재 전세계 문자의 대부분이
이집트 문자에 기원을 두고 있다.
. 제 5기 : 표음문자(phonogram)의 시기
. 표음 문자의 탄생
. 그림 문자의 한계 : 형태가 분명한 대상들은 그림 문자로 표현하기가 쉬웠지만,
"추상적인 대상이나 개념들은 그림문자로 표현하기가 어려웠다."
. 그림 문자의 한계를 보완하는 방법 - 표의문자 :
다른문자의 소리를 빌려서 쓰기도 하고, 이미 만들어져 있는 문자에 점 등을
첨가하여 별개의 의미나 별개의 소리를 나타내기도 하였다.
. 표의 문자의 한계
그러나 이런한 일이 진행되면서 상대방이 그 문자의 의미를 잘못 받아들이는
경우가 생겨났다. - 너무 갯수가 많음.
. 표의 문자의 한계를 보완하는 방법 - 표음문자
. 문자의 수를 한정하는 한편, 일부 그림 문자는 본래의 의미와 달리
발음의 전부나 일부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이렇게 소리를 나타내는 문자가 바로 '표음문자'이다.
표음문자에는 음절문자와 음소문자가 있다.
. 표의문자 : 문맹률이 높다. (중국) - 최소 2,000자.
. 표음문자 : 문맹률이 낮다. (한국)
. 표음문자(phonogram)
문자 중에서 하나하나의 글자가 특정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고
오로지 하나하나의 음성에 대응하여 그 발음을 나타낸 것.
. 표음 문자의 효율성
. '한자'가 표의 문자이고, 우리의 '한글'이나 영어의 '알파벳'
일본의 '가나'는 모두 표음문자이다.
영어는 불과 26개의 알파벳을 문자로 가지고 있지만,
이를 조합하여 무한개의 단어를 만들 수 있다.
. 표의 문자가 수없이 많은 문자를 필요로 하는 데 비해,
표음문자는 불과 수십개의 문자로 모든 것을 표현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 표음 문자가 발달하면서 비로소 사람들은 수없이 많은
문자의 형태와 그 문자가 지니는 복잡한 의미를 외어야 하는 부담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된 것이다.
. 음절문자(syllabic writing)
의미와 음성이 완전히 구별된 문자로, 문자가 불전음을 표시하게 됨.
하나의 글자가 하나의 음절을 표상
. 현대의 대표적인 음절문자의 예
일본의 가나 문자(가다가나문자)이며 그외에 키프로스 문자와 중국 남서부의
롤로족의 문자가 있다.
. 일본의 가다가나의 예
. 카타, 모 같은 음정소리를 내기 위해 한자의 모양을 빌려다 씀.
한자의 음만 빌리기도 함. 이때 이들 글자의 원래 의미는 사라진다.
. 자음 10개 x 모음 5개 = CV 50개
. 일본어와 같이 약 50개의 음절을 외우는 것은 쉽다.
. 한국어 - 초성 19개, 중성 21, 종성 28 = 11,172개
너무 많아서 외울 수가 없다.
. 이 경우, 음절 문자의 효용성이 떨어지므로
분절음을 표시하는 음소문자가 필요하게 된다.
즉, 음소를 문자로 표상하는 문자가 탄생하게 도니다.
한글, 영어나 유럽에서 사용하는 라틴 알파벳 등.
. 음소문자 : 자음과 모음을 분리
. 이두의 예 - 음절문자(한자에서 음만 따옴)
. 이두 : 신라 때부터, 한자의 음과 새김을 빌려
우리말을 적던 방식, 또는 그 문자.
. 무거을 - 없거늘(갈거, 새을)
. 음소문자(phonemic writing)
. 알파벳 문자, 자모문자라고도 함.
. 문명이 낳은 최대 이점이며, 배우기 쉽고 인간의 어떤 말도 표기하기에
효율적인 문자.
. 자음 음소문자(또는 모음이 없는 음절문자)
하나의 글자가 자음의 한 음소를 표상
. 페니키아 문자, 가나안 문자, 히브리 문자 등.
. 완전 음소문자
하나의 글자가 자음뿐만 아니라 모음도 한 음소를 표상
. 그리스 문자, 로마문자, 한글 등.
. 페니키아(Phoenician) 문자
. 지중해 연안(지금의 레바논)에서 해상의 통상이 활발했던 페니키아인이라는
히브리족이 최초의 자음음소문자인 원시 가나안 문자를 이어
받아 형태를 단순화하여 상요함.
. 원시 가나안 문자는 이집트에서 온 것을로 추정됨.
페니키아인은 기원전 1,500년경 이집트의 상형문자에서 이집트어의 의미를
버리고 발음만 따다 쓰기 시작함.
. 상형문자가 그 원래의 의미를 잃고 음가만을 지니게 되는 과정은 어떤
언어가 외국어의 문자를 빌려 쓸 경우 더욱 더 쉽게 일어남.
. 예 : 파라오 (Pharaoh)의 지팡이를 상징하는 상형문자가
고대 이집트에서는 '지배', '통치'의 의미를 지니고, 발음이 [pi]라고
가정하면, 이 상형문자의 발음인 [pi]가 외국에서 '닭'을 뜻한 다면
외국에서는 [pi]가 통치를 뜻하지 않고 표기하게 된다.
=> 음차표기
예) coffee => 커피
. 기원전 1,100년경부터 1,000년 이상 사용.
. 22개의 자음으로 구성된 문자.
. 페니키아인들의 공로는 문자의 발명이 아니라 활발한 교류를 통한
문자의 서양 세계의 전파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알파벳의 시초를
제공함.
(모음이 없지만 모음의 음가를 넣어부름 = 자음음소문자)
. 이집트, 그리스 간의 백향목 중계 무역
. 완전한 음소문자의 시기
한 자가 자음뿐만 아니라 모음도 한 음소를 표상
. 대표적인 예 : 그리스문자, 로마문자(라틴 알파벳), 한글
. 그리스 문자
. alphabet은 그리스어의 첫 두 자모('alpha'와 'beta')의 명칭을
합성한데서 유래.
. 예) beta는 두 집의 모양에서 옴.
. 페니키아어 자음 + 셈어 모음 => 그리스 문자.
. 그리스 문자는 이후에 더욱 진화하여 셈어(아랍어나 히브리어)에
있지만 그리스어에 없는 자음을 표시하는 문자를 그리스어 모음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함.
. B.C 5세기에 들어서면서 그리스 알파벳은 자음 17개, 모음 7개의 24자로
정착됨.
. 예) 소를 뜻하는 셈어의 "alef(알레프)"는 셈어에는 흔한 후두음이지만
그리스어에서는 이 후두 자음이 없으므로 이 문자를 모음 [a]를 표기하기
위해 사용함.
. 예) he는 '숨소리(epsilon)'를 뜻하지만 성문마찰음 h 없이 e로 불리게 됨.
. 고대 그리스 문자는 이후 로마문자로 계승되어 오늘날 영어를 비롯하여
유럽에서 사용하는 라틴 알파벳이 됨.
. 한편, 그리스 문자는 9세기에 선교사 키릴로스가 동구 유럽으로 포교를
하면서 슬라브어에 도입되어 모양이 변형된 키릴 알파벳(cyrillic alphabet)이 되었고, 오늘날 러시아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함.
. 그러나 한글은 진화한 것이 아니라 창안된 것.
- 대단한 업적 (생일이 있는 문자)
. 지구 상의 대부분의 문자는 표음문자이며 그중에서도 음소문자가 대부분이
다. 표음문자라 하더라도 발음과 표기가 일대일의 대응을 이루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언어의 변천으로 문자에 의한 표기와 실제 발음과의
사이에 차이가 나는 경우도 많다.
. 페니키아 문자에서 파생된 알파벳 계보
. 원시 가나안 문자 - 최초의 자음 음소문자
. 고대 그리스 문자 -> 성서 -> 완전한 음소문자(로마, 그리스 문자)
. 아람문자 -> 코란 -> 히브루 문자
. 문자의 역사는 지리, 세계사, 정치, 역사 등이 엮여 있다.
. 필경사
. 이집트 필경사 : 당시의 교육은 글쓰기를 가르치는 것
. 암기해야 할 기호와 상형문자의 복잡성으로 오랜 기간 수련이 필요
. 열 살때부터 학교에서 글쓰기를 배움
. 받아쓰기와 베껴쓰기 등을 교육
. 강력한 사회 계층을 형성, 글을 읽고 쓸 줄 아는 기술 때문에 왕만큼
위세가 있었음.
. 메소포타미아 필경사가 진흙판을 이용한 반면, 이집트 필경사는 다양한
필기 소재를 사용.
. elite, 독점적 특권계층, 지배 권력
. 한국도 양반, 부자만 서당에 다님.
. 5,000년 전 종이 - 파피루스
. 파피루스 - 나일강 삼각주 지역에서 자라는 식물
. 밧줄, 매트, 샌들, 돛 따위의 재료.
. 파피루스 줄기를 이용하여 종이와 유사한 필기소재를 만들어 글쓰기에
혁명을 가져옴
. 파피루스 줄기를 가느다란 조각으로 자르고 겹쳐 붙인 다음,
이렇게 만든 한 켜 위에 다른 켤르 90도 각도로 덧붙임, 그 후 힘을 주어
건조시켜 다시 닦아 낸 뒤 전분풀을 이용해 약 20장의 파피루스를 세로로
이어 붙여 3.5~4.5m 또는 7~8m 길이의 두루마리 파피루스 용지를 완성하여
사용
. 필경사는 왼손으로 파피루스 두루마리를 왼쪽으로 밀어내면서 오른손으로
써 내려감.
. 파피루스에서 일반글씨는 검은 색, 왕의 이름만 붉은 색(잉크가 비싸서)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