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9월 27일 화요일

졸업연구

대략 3편의 논문을 열심히 읽고 교수님의 질문을 무난히 넘길 수 있었다.
"spatial DB를 설명해 보게."
"sensor network의 특성이 뭔가?"
"range query와 closest query의 차이는 뭐지?"
어느 정도 읽었는 지, 몇몇 퀴즈 문제로 구술 test를 하시더군.;;
다행히 말빨로 때우고 회사에서 겪었던 재미있는 에피소드로
수다 떨면서 미팅을 마무리 지었다.


공상과학 소설 같은 생각만 떠올라서 아직은 뭘 만들어야 할지 모르겠다.
이번에 새로 받은 논문 한 편을 또 읽고 더 그럴싸한 모습을 만들어 봐야지.


이런 두리뭉실한 내 답변들에도 성실하게 대답해주시고
논리적 허점들이나 구현상 난점들을 바로 찍어주시는 걸 보고 놀랐다.
"GPS system은 shadow가 있어서 빌딩 내부에서는 불가능하지."
"휴대폰 기지국은 범위도 너무 넓고 분해능이 낮아서 사람을 trace하는 데 부적합해."
"Hardword data logger는 시간적 특성은 있지만 공간데이터는 아니지."


수업이 진행되면서 청강과목은 하나씩 째게 되는 것 같다.
특히 일주일에 2번 중 한 번만 들어가는 '기업가 정신과 벤처', '경영학개론'은 들어가기 힘들다.
나 없는 동안 진도가 한 단계씩 나가있으니까.
더구나 조별 수업이라서 조별로 앉아버리면 청강생인 나는 갈 곳이 없다.
(노숙자나 난민, 무국적자의 설움과 같은 것이다.)


졸업연구도 점점 일이 닥치기 시작하니 막막하구나.
물론 매우 성실이 논문만 읽으면 교수님께서 많은 도움을 주시는 것 같지만
내 생각이 없이는 report가 나오기 힘들듯.
내 생각을 점점 유도하실 듯 한데, 뭘 뱉어내야할까?
떠오르는 생각은 있지만 다들 누군가 한 것이거나 내 수준에서 구현이 힘들다.
이번 주에는 개인의 24시간 위치 정보를 저장해서 시공간 manage를 하는 걸 생각해 봤다.
하루에 몇 시간이나 도서관에 있는 지, 차는 몇 시간 탔는 지,
조깅은 몇 분 동안 어느 정도의 거리를 얼마의 속도로 갔는 지,
산을 얼마나 올랐는 지, 잠은 몇 시간 잤는 지, 샤워는 몇 분 했는 지 등..
GPS를 통한 접근을 생각했는 데, 분해능이나 추가적인 위치의 tag를 얻으려면 RFID가 나을 것 같기도 하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