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9월 13일 화요일

사람들 - social network, human resource

24살이 되서야 사람들이 중요하다는 걸 깨닫고 있다.
명시적인 동문이라는 것이 있는 고등학교, 대학을 나오고
2년 반 동안 회사라는 조직에 있었지만
조직, 네트웍의 힘을 잘 깨닫지 못했다.


모든 것을 혼자하려는 것은 독립성(independency, standalone)을
기르기 위해서 필요하지만 역시나 혼자서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
교수나 개인적인 스포츠를 하는 운동선수라고 해도
경쟁자, 후원자, 코치, 관객 등이 필요하다.
혼자서는 올림픽을 개최할 수 없다.


과학 프로젝트도 혼자 가능한 것은 하나도 없다.
아인슈타인 같은 천재도 거의 혼자 업적을 이룬것 같아 보이지만
사실 친구의 노트를 빌려서 공부하고 수학자 민코우스키의 도움으로 일반상대론을 완성한다.


과학자라는 개인적인 직업도 학회에 가입하고 학교나 연구소에 들어가지 않고는 성립되지 않는 다.
현실적으로 말해서 과학을 한다고 해서 과학자가 되지는 않다.
학회의 회원이 되어 서로 peer-review를 해야 과학자로 인정받을 수 있다.


세상이 나를 판단할 때도 내 자신만 봐주지는 않는 다.
어떻게 하더라도 KAIST라는 학교 이름을 보지 않고 나를 선발하는 경우는 없다.


사실 학교의 시험 시스템은 혼자서 모든 것을 푸는 것이지만
3년간의 학교 생활동안 책만 봐서는 해결되지 않는 수많은 것들이 있었다.
그것들을 물어볼 적절한 선배나 친구가 있었다면 5분만에 해결할 수
있었던 것들도 혼자서 하려고 했기 때문에 결국 이해하지 못하고
학점도 받지 못했다.


세상을 흐르는 정보도 인터넷의 바다속에 대부분 공개된 것은 사실이지만
social network내의 정보가 더 가치가 많고 effective하다.
모 과고의 동문 사이트 라던지,
유료 논문 검색 사이트,
의사, 변호사들의 집단..


내가 누리는 이런 평화로운 세상과 부의 대부분이 사회에 속해 있기 때문에 나온 것이다.
아무리 몇%내의 집단이라고 해도 후진국에서 태어났다면 이렇게 편히 잠들지 못했을 것이다.


경제학적 비교우위도 사람들과 서로 많은 것을 주고 받을 때 생긴다.
아무리 뛰어난 사람이라도 자신보다 실력이 적은 어떤 사람과 교환할 것이 분명이 존재한다.


----------------------------
how(technology)에 대한 것은 what(problem)에 대한 것으로 바뀌고
what에 대한 고민이 where(index of knowledge)로 바뀌고
where은 다시 그것들을 보유한 who가 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