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6월 27일 일요일

공간 친숙 점수(space familiarity score) - 화장실

코엑스나 KAIST 같은 넓은 공간에서
내가 그 공간에 얼마나 익숙한지 측정하려면 어떤 방법이 있을 까?
인간이 사는 모든 공간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component를 기준으로
측정하면 된다는 생각이 들었다.


사람들은 어느 정도 알게 되면 그 공간이 익숙한 공간이라고 생각하게 되는 걸까?
그 기준중에 하나로 나는 화장실을 들고 싶다.
화장실이 없는 곳은 문명이 없는 곳이다.
(잡담 : 베르사유 궁전에는 화장실이 없다는..)
화장실의 위치를 알면 불편할 때 - 생리적 이유나 물을 쓰기 위해 혹은 그냥 거울 한 번 보려고
편하게 쉴 수 있는 공간을 하나 확보한 셈이다.
그래서 화장실은 toilet이라는 이름 이외에 rest room이라고도 불린다.


드라마를 봐도 갈 곳 없는 주인공들이 혼자 울 때, 혼자 기뻐할 때 주로 가는 곳은
옥상, 계단 아니면 화장실이다.
화장실은 자신의 작업공간(work space)보다 더 private하기도 하다.
오래 있을 수는 없다는 단점이 있지만 그래도 매일 3번 이상은 가게 된다.
(세수, 양치질, 샤워, 생리적 현상 등...)


다른 사람의 집에 방문해서도 그 사람의 안방이나 다른 방들에는 쉽게 들어가 볼 수 없지만
화장실은 원하면 쓸 수 있고 위치를 모를 때는 왠지 물어보기 쑥스럽지만
알고나면 다음번 부터는 편하게 방문할 수 있다.


화장실의 위치를 잘 알고 있는 건 시내나 코엑스, 학교, 병원, 놀이공원 같은 곳에서도 유용하다.
낯선 곳에서 급한데, 화장실 위치를 모르는 건 얼마나 당황스러운 일인가?


---------------------------------
그래서 내가 머릿 속으로 코엑스에 있는 화장실을 몇 곳이나 알고 있는 지 생각해 봤는 데,
놀랍게도 10~15개쯤 되는 것 같다. (내가 아는 곳만)
그렇다면 코엑스의 길은 화장실 갯수보다 더 많이 안다는 뜻이다.
(그래프 이론에 따라 각 장소를 node, 길을 edge라고 하면 node 중 일부만이 화장실이므로
 나는 상당히 많은 edge를 아는 셈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