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1월 24일 수요일

지방

정말로 나는 지방에서 살기가 싫다.
뭐 소똥냄새가 난다거나 그런게 아니다.
(농사 많이 짓는 시골 할머니댁은 그렇지만.. 적어도 우리집 근처는 아니다.)

저렴한 집세와 물가, 낮은 인구밀도가 어떻겠냐고 하겠지만,
한 번 내려가면 다시는 올라올 수 없다.
그리고 다음세대(결혼을 한다면 다음세대가 생기겠지.)에게 큰 짐이 될 것이기도 하고.

한국사회에서 지방에 대한 차별은 심하다.
명시적으로 지방에서 왔으니 안되라고 하지 않더라도
국가의 예산, 인구의 증가(유입)이나 모든 제도들을 보면 그렇다.

현재 우리나라가 가장 걱정하는 출산율에서부터
서울, 수도권을 제외한 모든 곳은 인구가 그대로이거나 줄고 있다.
인구가 줄어드는 사회는 발전을 기대할 수 없다.
(현재의 정치, 경제 시스템상으로 그렇다.)

수능 300점(정확히는 모르겠지만 아마도) 넘는 친구들은 다 서울에서 학교에 다닌다.
일부 의대, 치대, 교대가 아닌 이상 지방에서 공부하는 똑똑한 친구는 없다.
서울과 지방이 학력차에 의해 분리되고 있는 것이다.
부동산도 30년 전에는 이렇게 큰 가격차가 나지 않았다.
앞으로 10년 뒤에는 더 큰 차이가 날 것이고 계속 누적될 것이다.
지금 내 세대도 이렇게 서울에 들어와서 살기 힘든데,
다음 세대는 과연 서울에 발을 들여놓을 수 있을 까?

방송, 통신 서비스를 봐도 그렇다. 휴대폰, 케이블 TV, 인터넷이 보급될 때도 그랬고, 아직도 지방은 DMB가 안된다.
구매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가게도 적고 물건의 선택이 폭도 좁다.
제대로된 A/S 센터도 거의 없다.
지하철은 30년 늦게 들어왔는 데, 아무도 안 탄다.
같은 시간 일해도 월급도 적고 고소득 직종, 전문직은 훨씬 드물다.
심하게 말해서 지방을 떠나서 살 자신이 없는 사람들(자신감이 부족한 사람들)만 거기 살고 있을 뿐이다.

수도 이전 막으려고 난리치고 탄핵시도 한 것만 해도 그렇다.
마지막 희망도 없어진 것이다.
지역 균형 발전보다는 앞으로도 서울에 올인하겠다는 뜻이다.

아버지는 내게 일도 안하고 회사도 안다니면서 왜 고향이 아닌 서울에서 그 비싼 방세줘가며 공부를 하고 있냐고 물으셨지만 솔직히 광주에는 제대로된 학원도 없다.
강남역에 4개, 교대역에 1개 있고, 부산 쯤에 하나 있다는 데, 부산 출신에 부산대를 목표로 공부하는 학생도 서울와서 공부하는 경우가 많다.

공기는 조금 더 깨끗할지 모르겠지만 정보도 느리고, 문화적 보수성도 더 크다.
성차별도 더 심하고, 인구구성도 더 늙었다.
서점에 책도 부족하고 물류비도 더 비싸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