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12월 7일 일요일

약속 시간과 장소

  유목민은 약속 시간과 장소를 잡기 매우 모호하다.

  펼쳐전 것은 넓은 들판이기 때문에 어느 장소에서 만날 지 정하기 어려운 것이다.

  단지 그냥 인연이 되면 다시 만날 것을 기약하면서 "안녕~" 할 수 밖에 없다.

  
  농경 생활을 하게 되면서 인간은 정착을 하게 되었고 약속을 잡을 수 있게 되었다.

  "누구누구의 논", "누구누구의 집 앞"에서 만나면 되었고 농경민족은 계절이 민감하기 때문에

  "봄", "여름", "가을", "겨울"..

   더 자세히 "단오", "추석", "설" 쯤에 보자 라는 식으로 약속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달을 이용하면 분해능을 2~3일 단위까지 끌어올릴 수 있게 되었고

   해를 통해 3~6시간까지 알 수 잇게 되었다.

   그 후 산업 혁명 이후 과학의 발전으로 경도, 위도를 측정하게 되고 정확한 지도와 측량을 통해

   10~100m 이내의 공간과 5분 이내의 시간 분해능으로 약속을 잡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근래에 들어 특이한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점점 늘어나는 공간, 시간 분해능을 다시 넒혀버리는 도구가 나타난 것이다.

   바로 휴대폰인데. 대부분의 사람이 휴대폰을 가지게 된 다음부터는 다시 공간, 시간이 모호해 지고

   있다.

   그런 통신 수단이 보급되기 전까지는 "몇 월 몇 일 몇 시 무슨 역 몇 번 출구" 이런 식으로 약속을

   잡고 최대 30분 정도 기다리다가 사람이 나타나지 않으면 실망하고 돌아가야 했다.

   하지만 요즘은 약속을 잡을 때. "몇 월 몇 일에 보자." 이런 식으로만 잡기도 한다.

   전화로 당일 사정에 맞추어 시간을 정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장소도 모호하게 "학교 근처" 이런식으로 잡은 후 학교에 도착해서 다시 전화를 해서

   "학교에 도착했는 데. 어디로 가면 될까?" 이런식으로 dynamic하게 약속이 조정가능해졌다.

댓글 3개:

  1. 약간 불만이 있다면 바로 모호성이다.

    게으름뱅이들을 더 게으르게 만들어버렸다.

    예전 같으면 약속에 늦는 사람은 버리고 갈 수 있었는 데

    이제는 늦어도 언제든 전화를 하면 되서 기다리는 시간이 무한정으로 늘어버렸다.

    또한 쉽게 바꿀 수 있게 되서 변덕쟁이들에게 놀아날 가능성이 늘어났다.

    예전처럼 약속 후에 스케쥴을 더 곰곰히 생각하지도 않게 되었고

    일단 만나서 생각하자는 식으로 미루게 되서 아무 생각없이 무계획적으로

    만나게 되는 것 같다.

    답글삭제
  2. 오.. 약간 동감. ㅎㅎ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