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1월 23일 일요일

[펌]천식

기관지천식 [氣管支喘息, bronchial asthma]  

요약
천명(喘鳴)을 수반하는 발작적 호흡곤란을 일으키는 병증.

본문
일반적으로 천식이라고 불리는 질환으로, 특정된 심장 또는 폐질환에 의하지 않으나, 발병 기구(機構)는 여러 면에서 해명되지 않은 점이 많다.

발작은 넓은 범위에 걸친 중 ·소 기관지의 평활근(平滑筋) 수축, 점막부종(粘膜浮腫)에 의한 협착(狹窄)과 기관지 강내(腔內)의 담(痰)에 의하여 야기된다. 원인은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알레르기설이 가장 유력하다. 기타에 유전성이라든지 자율신경 이상 등의 설도 있다.

천식과 가장 관계가 깊은 소인(素因)으로 알레르기 체질이 있다. 이는 원래 알레르겐의 작용에 의하여 항체를 만들기 쉬운 체질인데, 그러한 체질을 가진 사람에게는 각종 발작의 유인, 예컨대 감염 ·내분비 조절장애(사춘기나 갱년기에서 볼 수 있다) ·과로 ·정신적 스트레스 등 외에 화분(花紛) ·실내외 먼지 ·곰팡이 등 알레르겐의 접촉에 의하여 발작이 오기 쉽다.

증세의 전형적인 특징은 기침 ·재채기 등의 전구증상(前驅症狀)에 이어 급속히 호흡이 곤란해지며, 호흡을 하면 그르렁그르렁하는 천명이 나온다. 그런 발작이 멎으면 소량의 진득거리는 담이 나오고 호흡이 차차 편해지면서 천명도 진정되어 발작 전의 평상시 상태로 돌아간다. 발작의 강약은 환자에 따라서 매우 다르며, 또 빈도나 지속시간도 가지가지이다. 발작은 야간 또는 새벽에 일어나는 경우가 많고, 계절적으로는 봄과 가을의 환절기에 많다.

진단은 특징 있는 발작상태 때문에 비교적 쉬운 편인데, 발작시에 갖는 특징적인 의학적 소견으로는 양측 폐야(肺野) 전반에 걸친 건성(乾性) 라셀음(音)이 청취되며, 담에서는 호산구(好酸球) ·샤르코-레이덴의 결정(結晶) 등을 볼 수 있다.

치료법에는 대증요법(對症療法)과 본태적(本態的) 요법이 있는데 대증요법으로는 아드레날린이나 에페드린 등 교감신경 자극제, 테오필린 계통의 약제 및 부신피질 스테로이드 약제가 주로 쓰이며, 보조적으로 항히스타민제 ·진해제 ·거담제 ·진정제 등이 사용된다. 본태적 요법은 체질개선요법이라고도 불리는 것으로, 알레르겐에 대한 탈감작요법(脫感作療法)과 금제제(金製劑)나 정제두균(精製痘菌) 등을 이용한 자극요법이 있다.

기침성천식 [cough variant asthma]  

요약
다른 증세 없이 기침만 하는 천식.

본문
기침이형 기관지천식이라고도 한다. 천식은 일반적으로 숨이 차고, 쌕쌕거리는 숨소리가 들리면서 기침 증세가 함께 나타나지만, 다른 천식 증세가 없이 기침만 심하게 하는 경우이다. 기관지천식과 마찬가지로 가역적인 경과를 보이며 특정한 계절에 심하게 나타나거나 하루 중 특정 시간에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 심하면 잠을 이루기 어렵다. 연달아서 5회 이상 기침을 하는데, 심하면 구토를 하거나 가슴의 통증을 호소하기도 한다. 기침이 심하면 심한 경우 늑골 골절, 탈장, 치질 악화까지 나타난다. 기관지천식 환자들과 마찬가지로 기관지 과민증이 나타나고, 찬 공기나 담배 연기 등에 노출되면 기침 증세가 심하게 나타나며, 가래는 많지 않다. 이 경우에는 진해제만으로는 기침 증세를 완전하게 치료할 수 없다. 감기 후에 오랫동안 기침만 하는 경우에는 기침성천식의 여부를 진단받는 것이 좋다.

이 질환은 알레르기성 호흡기 질환으로 기관지에 생긴 알레르기 염증반응 때문에 생긴다.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인 알레르겐이 체내에 들어와서 알레르기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것이다. 염증이 일어나면 기관지가 부어올라 기관지가 좁아지고 수축하게 되며 기관지 내의 분비물이 많아져서 가래가 증가한다. 호흡기 알레르기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은 공기 중에 부유하는 물질인데, 단백 성분이 포함된 물질은 어느 것이나 알레르겐으로 작용하여 그 원인이 될 수 있다. 그 중 가장 흔한 것은 집먼지 진드기, 꽃가루, 곰팡이 포자, 동물의 비듬 또는 털 등이다. 제대로 치료하지 못한 경우에는 간헐적인 악화와 호전을 반복하면서 폐기능이 서서히 악화된다. 합병증으로 가슴통증·복통·구토, 늑골 골절 및 기흉, 탈장 또는 호흡부전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치료방법은 기관지천식의 경우와 비슷하며 다음과 같다.

① 회피요법 : 이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 물질을 밝혀내어 이를 회피하는 방법이다. ② 환경요법 : 자극에 의해 코가 매우 예민한 상태이므로 모든 자극을 멀리하는 방법이다. 특히 차가운 공기 또는 급격한 온도변화, 담배 연기, 방향제나 스프레이 등을 피한다. 환경을 깨끗이 하여 곰팡이가 번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③ 약물치료 : 우선 기관지를 넓혀주는 기관지확장제를 사용하여 증세를 호전시킨다. 그 다음은 항염증제인 부신피질호르몬제를 투여한다. 이밖에도 크로몰린이나 네도크로밀 성분의 흡입제도 염증을 막는 효과가 있다.
------------------------------------------------------------
산업화된 국가일수록 천식 환자는 증가

‘기관지 천식’이란 어떤 원인에 의해서 기관지 안쪽에 있는 점막에 염증이 생기고, 이로 인해 여러 가지 자극에 대해 기관지가 예민해지거나 좁아져서 공기가 드나들기 어렵게 되는 병을 말한다. 기관지가 좁아지면, 마치 교통 체증이 심한 좁은 도로처럼 우리 몸에 필요한 공기(산소)가 드나들기 어려워져 숨이 차다고 느끼게 되고, 피리 소리와 같은 쌕쌕소리(천명)가 들리게 된다.

기관지 천식이라는 병명은 2200여 년 전 히포크라테스가 최초로 사용했지만, 기관지 천식 환자들에게서 가장 중요한 이상이 기관지 염증에 의한 기관지의 과민 반응이라는 사실이 알려진 것은 불과 10여 년밖에 되지 않는다.

기관지 천식은 아직도 문제가 되고 있다. 여러 가지 약들을 개발, 사용하고 있음에도 천식 환자의 사망률이 별로 줄어들지 않고 있으며, 오히려 산업화된 국가일수록 기관지 천식을 앓는 환자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고, 어린이나 한창 일할 나이의 젊은 환자들이 많아 국가적으로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이런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기관지 천식의 진단과 치료에 대해 세계적으로 인정된 지침이 나온 지는 10년도 되지 않으며, 그러한 이유로 수많은 비과학적이거나 적절하지 않은 진단과 치료가 행해져 온 것이 사실이다.

조기에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해

숨이 차고 기침, 가래가 있으면서 쌕쌕소리가 들리는 경우에는 비교적 어렵지 않게 기관지 천식이라는 진단을 내릴 수 있지만, 원인을 알 수 없는 기침이 몇 주일 동안 계속되거나 운동 후 가슴이 답답한 증상만을 보이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 조기에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병을 악화시키는 경우가 있다.

기관지 천식을 치료하는 목표는 적절한 약물을 사용하여 폐기능을 가능한 한 정상에 가깝게 유지하며, 병을 악화시키는 요인을 피하고, 운동을 포함한 정상 생활이 가능케 하는 것이다. 또한 기관지 천식으로 인한 생활의 지장이나 입원 및 사망을 최소한으로 줄이는 것이지 단기간의 치료로 병을 완치시키는 것이 아니다.

10여 년 전에는 기관지 천식의 치료에 주로 증상을 완화시키는 약을 사용했지만, 현재는 기관지 점막의 만성 염증을 치료해서 기관지가 과민해지는 것을 막고, 장기적으로는 기관지에 흉터가 생겨서 호흡 곤란이 생기는 것을 예방하고 있다.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대부분의 환자는 기관지의 염증이 호전되고 호흡 곤란도 없어져서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하게 되지만, 호흡 곤란이 없어졌다고 병 자체가 없어진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간혹 환자들의 괴로움을 악용하여 근거 없는 치료 방법을 권하거나 광고하는 경우를 볼 수 있는데, 기관지 천식이라는 병 자체가 고혈압이나 당뇨병 등과 마찬가지로 만성 질환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기관지 천식이라고 의심이 되는 환자는 반드시 전문의와 상의하는 것이 필요하다.
------------------------------------------------------------
기관지 천식은 어느 나이에서나 발생하지만 요즘에는 그 연령이 낮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들어 기관지 천식 환자가 급격히 증가하여 어린이의 5∼10%에 이르고 있다. 한 두 살 때에 기관지염을 3번 이상 앓은 경우에는 커서 천식이 되는 수가 많다고 한다. 이처럼 천식이 증가하는 것은 모유 대신 우유를 먹이고 이유식을 조기에 사용하는 것과 더불어 침대, 카펫, 커튼 사용과 아파트에 거주하는 등 서구화된 생활양식 및 대기 오염 등이 중요한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천식이란 숨 쉴 때 들어오는 여러 가지 자극 물질에 대한 기관지의 과민반응으로, 기관지를 비롯한 기도점막에 염증이 생겨 부어 오르며 기관지가 좁아져서 천명(쌕쌕거리는 호흡음)을 동반한 기침과 호흡곤란이 발작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이다. 일단 호전이 되면 대부분의 경우 거의 정상 상태로 회복이 되기는 하나 반복적으로 자주 재발하는 특징을 가진 호흡기 질환이다.

기도가 좁아지는 이유

호흡기도는 크게 점막과 기관지 평활근이라는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다. 점막에서는 많은 분비샘들이 있어서 끊임없이 필요한 분비물들을 만들어 내고 있으며, 기관지 평활근이 수축을 하게 되면 호흡기도가 좁아지게 된다. 이러한 호흡기도에 여러 가지 자극으로 인하여 염증반응이 일어나면, 분비샘에서 나오는 분비물이 더욱 증가하게 되고 이러한 분비물들이 기도를 막아버리게 된다. 또한 점막이 기도 안쪽으로 부어오르게 되어서 기도를 더욱 좁게 만든다. 여기에 기관지 평활근이 수축을 하게 되어 기도는 한층 좁아지게 된다. 이런 문제들이 오래 지속되거나 자주 일어나면 기도의 구조도 어느 정도 변화하여 영구적으로 문제를 남기기도 한다. 그러나 천식의 경우와는 달리 이물질이 기도에 들어가거나 종양 같은 것이 근처에 있어서 기도를 누르거나 막아서 기도를 좁게 만드는 경우처럼 염증 반응에 의하지 않고도 기도가 좁아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구별이 필요하다.

※ 최근에는 천식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1) 여러 가지 자극에 대한 기도의 과민반응이 있어야 한다.
2) 광범위한 기도폐색 증상이 나타나면서 이 기도폐색은 치료에 의해, 혹은 자연히 소실되는 특징이 있다. 이것을 가역적인 기도폐색이라고 한다.
3) 1)과 2)의 조건을 충족시키면서 기도의 염증성 반응을 보이는 질환을 천식이라고 한다. 천식일지라도 전형적인 천식의 증상이 안 나타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천명이 있다고 해서 천식이라고 하지는 않는다. 세기관지염이나 천식성기관지염, 만성폐쇄성 폐질환(COPD:만성기관지염과 폐기종), 울혈성 심부전증, 폐암과 같은 종격 종양, 기도내 이물 등도 천명이 나타날 수 있다.

천식의 병인은 그리 간단하게 설명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 중에서 상당한 요인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알레르기이다.
그러나 실제로 알레르기 단독으로만 천식을 일으키는 경우보다는 감염이라든지, 자율신경계의 실조(失調), 내분비계의 이상, 수용체의 차단상태, 정신적인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천식을 일으키게 된다. 게다가 천식의 유전적인 소인이 있는 경우에, 여기에 알레르기 반응 등의 후천적인 원인이 더해져서 천식을 일으킬 가능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알레르겐

일반적으로 알레르기성 천식인 경우 어떤 물질에 대한 과민 반응으로 생기는데 집먼지진드기, 집먼지, 꽃가루, 동물의 털, 곰팡이, 우유, 계란, 견과류, 생선, 복숭아, 메밀 등이 대체적으로 문제가 된다. 이렇듯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원인 물질을 알레르겐(또는 항원)이라 한다. 우리 나라에서 4가지 대표적인 알레르겐은 집먼지진드기, 쑥 꽃가루, 고양이 털, 알터나리아 곰팡이 이다. 그 중 집먼지진드기가 가장 중요한 원인이 되는데 소아 천식의 70∼80%, 성인 천식의 40∼50%가 집먼지 진드기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으로 생기는 것이다.

유발요인(비항원성 천식유발자극)

알레르기성이 아닌 기관지 천식일 경우에는 감기, 운동, 찬 공기(기후의 변화), 오염된 공기, 담배연기나 페인트, 향수와 같은 진한 냄새, 스트레스, 흥분, 고함 지르기, 식도 역류, 약물, 임신, 술 등이 원인으로 작용하는데 이런 것들은 알레르겐과 구별하여 유발 요인이라 한다.

- 기후변화 : 천식 환자들은 기온, 기압, 습도 등 기후변화에 매우 민감하다.
- 대기오염물질 : 아황산가스 일산화탄소 오존 이산화질소, 먼지와 매연, 분진 등의 대기오염물질, 스모그에 노출되면 증상이 악화되고 사망률이 증가한다.
- 진한 냄새 : 각종 스프레이나 페인트, 담배연기나 연탄가스, 니스, 아세톤, 향수, 심지어 생선 굽는 냄새나 요리냄새에도 증세가 악화될 수 있다.
- 감기와 같은 호흡기 감염 : 감기에 걸리면 기도의 과민도가 높아져 기관지 염증이 심해지면서 천식발작을 일으킨다.
- 약물 : 성인 천식환자의 5∼10%는 아스피린이나 소염진통제를 먹으면 발작한다. 특히 축농증과 코 안에 물혹이 있는 환자가 아스피린을 먹으면 40%이상 발작위험이 있다.
-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 : 산화방지제로 쓰이는 아황산염에 민감한 환자는 말린 과일이나 채소류, 과일농축액, 포도주 맥주, 과즙, 아보카드 소스, 감자, 새우 등 음식을 가려 먹어야 한다.
- 감정·정서적 요소 : 시험이나 집안 일로 신경을 쓴다든지, 야단을 맞거나 부모의 이혼 등 정신적 스트레스도 증세를 악화시킨다. 즉, 천식은 알레르겐(항원)과 유발 요인에 의해서 생길 수 있는데, 어떤 이는 이중 2가지나 3가지가 합쳐져야만 증세를 보이기도 한다.

유 전

기관지 천식의 가장 중요한 원인은 알레르기인데 이 알레르기가 유전되는지 여부는 확실치 않다. 그러나 부모 모두가 알레르기 질환을 가지고 있다면 태어나는 아이들의 50-70%가, 한쪽 부모만 알레르기인 아이들의 35-50%가. 그리고 알레르기 질환이 없는 부모의 아이들에서 15% 정도가 알레르기 질환을 앓을 수 있다. 그러므로 가족 중에 기관지 천식을 포함한 알레르기 질환이 있는 집의 아이들은 그렇지 않은 집 아이들에서보다 기관지 천식이 더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천식도 유전적인 소인을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천식은 원인에 따라 크게 알레르기성 천식과 알레르기성이 아닌 내인성 천식(비아토피성 천식)으로 나눌 수 있다. 알레르기성 천식은 알레르기 혈액검사와 피부 반응 검사 등에 양성을 보이기 때문에 원인을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다. 반면에 내인성 천식은 알레르기혈액 검사에도 별다른 이상이 없고 피부반응 검사에도 알레르기를 의심할 만한 반응이 없는데도 천식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 이처럼, 천식이 모두 알레르기성으로 생기는 것만은 아니다.

외인성 천식

일반적으로 주위 환경으로부터의 알레르기 항원이 천식을 일으키기 때문에 알레르기성 천식이라고도 한다. 본인의 기왕력(旣往歷)과 가족력에 알레르기성 비염과 아토피성 피부염 등 알레르기성 질환을 보인 경우가 많고, 유전적인 경향을 나타낸다. 알레르기성천식을 일으키는 원인은 집먼지나 먼지진드기가 많고 고양이털, 꽃가루, 바퀴벌레, 곰팡이, 호흡기 감염, 담배연기, 대기오염물질, 찬공기, 특정식품이나 약물 등이 천식을 유발시킨다. 알레르겐의 흡입이 직접 유인이 되며, 맑은 콧물, 재치기, 눈물, 눈의 가려움증 등의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발병 연령은 보통 35세 미만으로 젊은것이 보통이다.

내인성 천식

감염성 천식(비알레르기성 천식)을 말하며 기도감염에 의해 발작이 유발되는 경우가 많다. 유전적인 경향은 없으며 계절성 변화가 없으며, 증상이 더 심하고, 천식 지속상태(status asthmaticus)가 잘 오며, 35세 이상의 성인에게서 흔히 볼 수 있다. 스트레스나 분노와 같은 감정적 요인에 의해 급성 천식 대발작을 일으킬 수 있다. 만성 기관지염이나 폐기종 환자가 급성 호흡기감염과 동반하여 호흡곤란과 천명을 나타낼 때를 감염성 천식이라고 한다.

혼합형 천식

내인성 및 외인성 요인이 혼합되어서 천식이 발생하는 경우를 말한다. 임상적으로 순수한 내인성이나 외인성 천식보다는 혼합형 천식이 더 많다고 한다.

직업성 천식

작업장의 감작성 물질에 일정기간 노출된 후에 발생한 천식을 말하며, 이전에 있던 천식 증상이 비특이적 자극에 의해 악화되는 경우는 포함시키지 않는다. 원인물질에 감작되는 시간이 필요하므로 처음 얼마 동안은 무증상으로 지내다가 수개월 혹은 수년 후에 천식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증상은 주말이나 휴가 시에 완화되고 직장에 복귀하면 증상이 악화하는 특징이 있다. 직업적 천식 요인으로는 TDI로 대표되는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염료, 전자공장에서 사용되는 송진 연무 등 200여종이 보고되고 있다.

병력검사

기관지 천식을 진단하는데는 자세한 병력을 아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① 다른 알레르기질환은 없는가
② 가족 중에 알레르기 환자는 없는가
③ 숨이 차고 내쉴 때 쌕쌕거리는 소리가 나타나는가
④ 기침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는가
⑤ 밤에 기침이 심해지고 특히 새벽에 기침 발작이 나타나는가
⑥ 청진상 천명이 들리는가
⑦ 기관지 확장제를 투여했을 때 증상이 좋아지는가
⑧ 천식증상이 나타나는 특별한 조건이 있는가
⑨ 직업과 관련이 있는가 이렇게 자세한 병력검사를 통해 어느 정도 천식의 진단이 가능하지만 확진을 위해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검사를 한다.

혈액검사

알레르기 체질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이다. 알레르기의 발생과정 중에 나타나는 특수항체인 면역글로블린을 측정해서 일반적인 알레르기 성향을 알아보고 피부반응검사로 확인을 못하는 개별 알레르겐에 대한 특수항체를 측정한다.

폐기능검사

천식이 되면 폐기능은 당연히 떨어지는데, 공기의 통로인 기관지의 만성 염증으로 기관지가 예민해지고 기관지가 수축되면 우선 폐활량이 떨어진다. 또한 천식의 특징인 내쉬는 숨이 약해지는 것을 알아보는 검사도 실시한다. 평균의 결과보다 3/4 이하로 떨어지면, 천식으로 진단이 가능하다.

알레르기 피부반응검사

알레르기의 원인을 찾아내는 검사방법으로 알레르겐들, 즉 집먼지 진드기, 꽃가루, 곰팡이, 각종털 종류들의 성분을 잘 정제하여, 시약으로 만든후 이것을 몸에 바르고 바늘로 긁은 후 그 반응을 보는 것이다.

X선 검사

가슴사진이나 코 사진을 통해 폐와 기관지의 나쁜 정도를 파악하고 다른 호흡기 질환을 구별한다. 또한 코 사진을 통해 축농증이 동반되었는지 확인한다.

천식유발검사

천식인지 아닌지 불분명할 때, 원인이 되는 항원을 투여한 후 폐기능 검사를 실시해서 폐기능이 떨어지는 정도를 보는 것이다.

알레르겐 특이항체검사

기도과민반응검사

천식의 증상 중에서 가장 특징적인 것은 천명을 동반한 발작적인 기침과 호흡곤란이 심하게 나타나는 것이며 발작 시 환자들은 마른기침과 흉부 압박감을 느낀다. 심할 때에는 호흡곤란으로 인하여 입술이나 손톱이 새파랗게 되는 청색증(cyanosis)이 나타나기도 하고, 말도 잘 못할 정도로 심하며 심한 피로증세에 동반하여 불안, 혼란 등의 정신적인 변화까지 일으킬 수 있다. 그러나 천명이 없이 만성적인 기침, 흉부압박감, 원인을 알 수 없는 호흡곤란의 증상만 있는 천식도 적지 않다. 이러한 증상들은 멀쩡하다가 갑자기 발작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찬바람, 감기, 몸을 움직이거나 불안감으로 인하여 심해지고, 발작은 보통 야간, 특히 새벽에 많이 일어나는데 대부분의 사람은 발작을 일으키는 시간이 일정한 경우가 많다. 이런 증상들은 치료를 하거나 혹은 자연히 소실되기 때문에 천식 발작이 끝나면 환자는 언제 그랬냐는 듯이 아주 편안해진다.

천명(wheezing)

천명이란 기도가 좁아져서 숨을 내쉴 때 쌕쌕거리거나 가랑가랑하는 호흡음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어떤 원인에 의하여 기관지 점막에 부종이 있다든지, 기도 내에 점액이 존재한다든지, 기관지 평활근이 수축한다든지, 외부에서 기관지를 압박한다든지 할 경우에 기도가 부분적으로 막히게 되면 천명음이 들리게 되는데, 기도가 완전히 막히게 되면 호흡음이 들리지 않게 된다. 천명은 천식 외에도 기도내의 이물, 울혈성 심부전증, 세기관지염, 천식성기관지염, 만성기관지염, 과민성 폐장염, 폐암과 같은 종격 종양 등에서도 비교적 흔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주의해서 감별해야 한다.

기침과 객담(cough & sputum)

기도의 자극과 분비물의 증가로 인하여 기침이 나오게 되고, 잦은 기침 때문에 복통이 동반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특히 천식이 한밤중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므로 잘 자다가 한밤중에 기침으로 깨는 경우도 자주 있다. 기침은 천식 발작이 가라앉아 갈 시기에 더욱 심해지는데, 이것은 이 시기에 객담의 점조성이 감소하고 분비량이 증대되기 때문이다. 객담은 백색이나 점액성으로 좀처럼 쉽게 뱉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호흡곤란(dyspnea)

호흡곤란은 숨을 들이쉬는 것보다 내쉬는 것이 먼저 힘들어지고 심해질수록 숨을 들이쉬는 것도 힘들어지게 된다. 대부분 호흡곤란의 증상이 가벼울 때는 단지 가슴이 답답한 증상을 느낀다. 호흡이 힘들어지면 숨은 가빠지고(빈호흡) 늑골 사이가 숨을 들이쉴 때마다 쑥쑥 들어가는 모습(늑간함몰)을 보이게 된다. 증상이 심해지면 누울 수가 없어 앉아서 상반신을 앞으로 구부린 자세를 취하는 기좌호흡(起坐呼吸)을 하게 된다.

※ 발작 정도에 따른 증상의 차이

천식의 증상이 매우 빠르게 진행되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기관지 천식 증상이 갑자기 나타나는 현상을 「천식 발작」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발작이라 하면 흔히 간질을 연상해서 좋지 않은 인상을 받기 쉬우나 갑자기 병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를 의학적으로 「발작」이라고 한다. 천식의 발작은 그 정도에 따라 크게 소발작, 중발작, 대발작의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소발작은 쌕쌕거리기도 하지만 일상 생활에 전혀 불편이 없고 청진기를 대고 들어 보았을 때 가벼운 천명이 들리는 정도이며 대발작은 쌕쌕거리는 거친 숨소리와 함께 호흡곤란이 뚜렷하여 입술이 창백해지고 청색증을 보이기도 하는 경우이다. 중발작은 소발작과 대발작의 중간이다. 하지만 감기 기침과 천식 기침이 겉으로는 잘 구분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천식은 약물요법, 체력단련요법, 환경요법(회피요법), 면역요법 등을 병용하여야 한다. 환자의 증상에 따라 약물요법을 주로 하게 되는데 치료에 앞서 미리 알아야 될 사항이 있다.

※ 치료 전 알아야 할 사항

천식을 오랫동안 방치하면 기관지 점막에 흉터가 생기게 되는데 이것은 회복이 불가능하며, 이로 인하여 천식이 더 악화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며, 비록 증상이 없어지더라도 기관지 점막의 염증은 계속 진행되어 시간이 지나면 돌이킬 수 없는 기관지 손상을 초래하기 때문에 철저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특히 소아천식의 경우는 초기에 적극적으로 치료하여 천식발작의 횟수도 줄이고 발작 정도도 경감시켜야만 완치에 도달하기가 쉽다. 천식은 만성적이고 치료 시 증상이 일시적으로 호전되었다가도 자꾸 재발할 수 있으며, 치료 중이라도 더 나빠질 수 있어 입원을 할 수도 있다는 것을 잘 알아야 한다. 그러므로 단시일 내에 완치하겠다는 성급한 생각은 절대 금물이며 의사, 환자와 보호자간에 유대관계를 잘 유지하여 꾸준히 치료해야 한다. 그리고 천식을 제대로 치료하려면 가족들이 천식을 이해하고 치료를 도우려고 노력해야 한다.

환경요법(회피요법)

대부분 약물치료에는 신경을 많이 쓰면서도 정작 중요한 환경 문제에는 의외로 무관심한 경우가 많다. 천식은 대부분 환경 요인에 의한 알레르기가 발병 원인이다. 따라서 가정은 물론 사회적 환경에서 원인물질을 제거하고 생활환경을 개선 조절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예방법이다.

1) 집먼지 진드기 없애기 위한 환경관리법

천식의 흡입성 항원으로 가장 많은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는 것이 집먼지 진드기이다. 그러므로 침대 매트리스, 베개를 알레르겐이 빠져 나오지 못하는 특수커버를 씌우거나 비닐로 싸서 사용하고 카페트나 소파 등은 집먼지 진드기의 온상이므로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2) 그 외의 환경관리방법

먼지청소를 철저히 하고 개나 고양이 등 털이 날릴 수 있는 애완동물을 기르지 않는다. 황사, 공해, 콘크리트빌딩 생활 등으로 공기가 탁한 환경에선 담배연기는 간접흡입만으로도 유해하므로 집안에서는 절대로 금연한다.

약물요법

가장 좋은 치료법은 원인물질을 알아내어 미리 예방하는 것이지만 증상이 나타났을때 증상을 완화시키는 약물요법을 한다
----------------------------------------------------------
기관지천식과 알레르기 비염은 당뇨병이나 고혈압처럼 흔한 질병 중 하나로, 우리나라 성인의 약 5%가 천식을 지니며, 10% 이상이 알레르기 비염을 갖고 있다고 추측됩니다. 천식이나 비염은 유전적 소질이 있는 사람이 대기오염이나 집먼지진드기, 애완동물, 꽃가루, 곰팡이 등과 같이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 등 환경적 요인에 노출되어 알레르기 반응(변화된 면역반응)을 일으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최근 들어 대기오염 등의 환경 변화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천식 발생이 증가하는 경향이 뚜렷합니다. 일부 어른에서 발생된 천식의 경우 알레르기 원인물질을 밝혀내지 못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천식의 원인이 환자 몸안에 있다고 여겨지는 「내인성 천식」이거나, 직업적으로 노출되는 물질에 의해서 천식이 발생하는 「직업성 천식」일 수 있습니다.
천식과 비염의 치료는 약물치료와 더불어 알레르기 검사 및 각종 유발검사를 통해 환자마다 발병원인과 악화요인을 규명하여 이를 환경내에서 제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제거하기 힘든 물질에 의해 발생된 알레르기성 천식과 비염의 경우는 이 물질을 소량씩 환자에게 주사하는 면역치료를 통해서 알레르기 반응을 약화시키는 것이 근본적인 치료법입니다.

해당과는 병원마다 다릅니다. 알레르기내과는 고도의 전문성이 요구되기에 알레르기전문의는 대부분 대학병원급에 계십니다. 알레르기내과로 독립되어 있는 경우도 있고 알레르기류마티스내과, 호흡기알레르기내과, 알레르기-감염내과 등으로 통합 운영되는 곳도 있습니다.
그냥 호흡기내과에서 알레르기치료를 하는 곳도 있습니다.

참고로 이비인후과의 치료는 일식적인 치료입니다. 비중격만곡증 등과 같이 해부학적인 문제가 있을 시는 이비인후과의 치료가 도움이 됩니다. 비중격만곡증은 쉽게 말해 양 콧구멍을 가로지르는 칸막이가 휘어져 있는 것입니다. 비중격교정술이라는
간단한 수술로 치료됩니다.

<알레르기 질환 전국의 명의>

1. 김유영 서울대 알레르기내과 천식, 알레르기
1979년 서울대병원은 국내 처음으로 알레르기클리닉을 개설했다. 이듬해인 80년에는 알레르기 내과를 신설했다. 강석영 교수(90년 작고)가 주도했으나 그의 수제자 김유영 교수(58)가 이를 성공으로 이끌었다.
25년이 지났다. 이번에는 김 교수가 천식과의 전쟁에 나섰다. 최근 한국천식협회를 설립했다. 그는 한국도 호주처럼 암, 정신병 등 국가가 나서서 해결해야 할 질병 중에 천식도 포함시키길 기대하고 있다.

2. 박해심 아주대 알레르기류마티스내과 천식, 알레르기
▼천식유발 꽃가루 발견…치료제 개발 ▼
국내 처음으로 천식을 유발하는 새로운 물질인 환삼덩굴 꽃가루를 발견하고 진단법과 면역치료제를 개발했다. 천식과 알레르기 질환을 주제로 낸 논문 100편이 해외 학술지에 게재됐다. 임상 분야에서도 현재 관리하고 있는 천식환자만 3000여 명. 국제 학술잡지 심사위원을 맡고 있으며 유한의학상, 여자의사회 학술상 등을 수상했다.

3. 박춘식 순천향대 부천 호흡기알레르기내과 천식, 폐 호흡기질환

4. 문희범 서울아산 알레르기류마티스내과 알레르기

▼'24시간 관리' 새 진료모델 개발 ▼

중증 천식환자의 24시간 관리체계, 삶의 질 평가, 환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 새로운 진료 모델의 개발에 선도적인 역할을 해 왔다. 현재 아산생명과학연구소장을 맡고 있으며 천식과 비염 등 흔한 알레르기질환 외에도 희귀한 면역 질환에 대한 진단과 임상경험을 가지고 있어 명성이 높다. 스웨덴 카롤린스카연구소에서 연구원을 지낸 바 있다.

홍천수 세브란스 알레르기내과 알레르기, 천식
조상헌 서울대 알레르기내과 알레르기, 직업성 천식
민경업 서울대 알레르기내과 알레르기비염, 알레르기
윤호주 한양대 호흡기내과 천식, 알레르기
장안수 순천향대 부천 호흡기알레르기내과 호흡기 알레르기
김능수 경북대 알레르기-감염내과 알레르기, 천식
최동철 삼성서울 알레르기내과 난치성 천식, 알레르기
강홍모 경희대 호흡기내과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
이양근 전북대 호흡기알레르기내과 호흡기알레르기
이수걸 동아대 호흡기내과 호흡기알레르기
최병휘 중앙대 용산 호흡기내과 호흡기알레르기
이용철 전북대 호흡기알레르기내과 기관지천식, 호흡기질환(폐암)
이재영 강동성심 호흡기내과 천식, 호흡기알레르기
고영일 전남대 알레르기내과 천식, 알레르기
박중원 세브란스 알레르기내과 기관지염, 만성기침, 두드러기
이종명 경북대 알레르기-감염내과 알레르기
박성학 강남성모 호흡기알레르기내과 기관지천식, 호흡기알레르기
최인선 전남대 알레르기내과 기관지천식, 알레르기
김윤근 서울대 알레르기내과 알레르기
--------------------------------------
천식의 정의는 '기관 및 기관지가 자극에 예민해져 있는 상태'입니다.
만일 어떤 자극이 가해지면 기관이나 기관지가 좁아지고 기관지 벽에 염증반응이 일어나 얼굴 붓듯이 부으면서 분비물이 많아져서(가래) 폐를 드나드는 공기의 흐름이 방해를 받게 되지요.
그리하여 갑작스런 호흡곤란,기침,천명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천명이란 의사가 환자의 가슴을 청진기로 들었을 때 주로 환자가 숨을 내쉬면 '휘이~~'하고 들리는 소리입니다.천식이 심할 때에는 그냥 옆에만 있어도 천명이 들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천식은 완치가 안됩니다.
그때그때 증상을 조절하는 것이 바로 치료입니다.
천식환자의 치료는 환자의 증상에 따라 단계적으로 이루어 집니다만 대략 사용하는 약들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베타 수용체 자극제

사람의 기관과 기관지에는 교감 신경의 베타 수용체라는 것이 있는데 이곳이 자극되면 근육이 이완되어 공기의 흐름이 좋아집니다.
베타 수용체 자극제는 이 베타 수용체를 자극하는 약물이지요.
오늘날 가장 널리 쓰이는 천식 치료제들이 이 계통에 속합니다.
경구용 약도 있고, 흡입용 약도 있습니다.
살부타몰, 터부탈린 등이 대표적인 약물입니다.

2. Methylxanthine(메틸잔틴이라 발음해야 할까요?)

역시 기관지를 확장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만 그 기전은 뚜렷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천식에 대한 치료효과가 확실하기 때문에 베타 수용체 자극제와 함께 굉장히 널리 쓰입니다.
경구용 약도 있고 혈관주사약도 있습니다.
아미노필린이 대표적인 약물입니다.

3. 항콜린제

기관지 근육을 수축시키는 부교감 신경을 차단하여 기관지를 넓히는 역할을 하지만 부작용이 많아서 천식 치료에는 잘 안 씁니다.
심장병이 같이 있는 천식환자나 베타 수용체 자극제나 아미노필린을 쓰기 곤란한 환자에게만 선별적으로 사용합니다.
아트로핀이 대표적인 약물입니다.(주사약이죠.)

4.스테로이드

기관지 근육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기관지 벽의 염증반응을 차단하여 기관지 벽의 붓기를 가라앉히고 가래 분비를 저하하여 천식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경구용 제제와 흡입제가 있습니다.

5.비만세포 안정제(Mast cell stabilizer)

비만세포란 염증 반응의 중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포입니다.
이 세포는 여러가지의 물질을 가지고 있는데 이 물질들이 세포 밖으로 나오면 천식의 증상이 심해지게 됩니다.
비만세포 안정제는 이러한 비만세포가 자기가 가진 물질을 밖으로 내보내지 못하도록 방해하는 약물입니다.
다만 이러한 약들은 천식발작이 시작된 후에는 효과가 없고, 평소에 먹어서 천식발작을 예방하는 목적으로 쓰입니다.
크로몰린 소디움이 대표적인 약물입니다.

천식에 잘 걸리는 사람은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이 잘 걸립니다.(아토피 피부염 등)
주로 어릴 때부터 천식 증상이 있지만 나이들어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요새는 의학의 발달로 천식이 점점 일찍 발견되는 추세입니다.
--------------------------------------------------------------
알레르기성 기관지 천식을 외인적이라고 표현한다. 이는
자극이 신체 외부로부터 비롯된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성인의 경우에는 외부의 알레르기 항원에 의하기보다
오히려 만성 호흡기 감염이나 비특정적인 자극물 예를 들면
향수나 강한 냄새, 찬 공기나 아스피린이 포함된 약물 같은
것에 노출되는 경우와 관계가 많다. 이것은 내인적(비알레르기성)
기관지 천식이라고 한다. 알레르기성이건 아니건 천식을
갖고 있는 환자들은 대개 쉽사리 경련을 일으킬 수 있는
극히 예민한 기도를 갖고 있다.

비알레르기성 천식인 경우 과격한 운동이 따로는
천식발작을 촉진시킨다. 이는 빠르고 깊은 호흡을 하는
동안에 습기와 열이 발산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습도가 낮은
추운 날에 달리는 것이 따뜻하고 습기찬 날 달리는 것보다
쉽게 천식을 유발하며, 입을 다물고 뛰면 천식이 적게
발생한다. 반대로, 수영은 천식환자에게 좋은 운동인데,
그것은 따뜻한 공기와 높은 습도 때문이다. 기관지천식의
증세는 숨을 내쉴 때 들리는 특징적인 천명이다. 그런데 이
소리는 항상 알아차릴 수 있는 것은 아니므로 심장이나 흉부
압박감 또는 불편감 그리고 호흡의 단축 역시 천식 발작의
표시가 된다. 특히, 이들 증세가 복합되어 나타나거나 운동
후 나타날 때 유의해야 한다.

기관지 천식에서 벗어나려면 알레르기 항원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과 기관지 경련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 모두를
포함시켜야 한다.

-------------------------------------------------------------
<호흡기능 장애>




★호흡기의 구조와 기능


산소의 지속적인 공급은 인체조직의 생명유지를 위한 모든 과정 수행에 필수적이다. 호흡의 주기능은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고 산소를 신체에 공급하는 일(호흡성 가스교환)과 신체의 산-염기 균형을 조절하는 것이다. 만약 이 체계에 장애가 온다면 산소부족과 이산화탄소의 과잉축적으로 세포는 죽게 될 것이다.




호흡기는

① 상기도 - 코, 부비동, 인두, 후두, 기관의 상부

② 하기도 - 기관의 하부와 기관지, 세기관지

③ 폐조직 - 폐포관, 페포낭, 페포로 구성되어 있다.

그 외 호흡기계의 부속구조는 흉막, 횡격막, 흉벽 및 호흡기계를 움직이게 하는 근육이다.




★ 비인두염(감기, Nasopharyngitis, common cold)




-코와 인후의 바이러스 감염으로 rhinovirus, respiratory syncytial virus(RSV), adenovirus, influenza virus 등이 그 원인이다.

-임상증상 : 발열, 코와 인두의 건조 및 자극, 재채기, 오한, 근육통 때로는 바이러스성 장염이 나타나고 설사가 동반되기도 한다.

-치료적 관리 : 감기는 자가조절이 되므로 증상에 따른 일반적인 대증요법

·열이 있으면 미온수 마사지를 실시하거나 해열제를 투여한다. ;탈수에 빠질 수 있으므로 수분섭취 및 영양공급을 권장한다.

·비강폐색이 심한 경우는 비점액(nose drops)이 도움이 된다.; 영아는 0.125∼0.25% phenylephrin액과 같은 비점막 수축제를 사용한다. 비점약은 수유 15분∼20분전, 취침전에 투여하며 아 동을 눕히고 머리를 뒤로 젖힌 상태에서 1∼2방울 코에 떨어뜨리고, 5∼10분 후 한번 더 투여한다.

·효과적인 기도유지: 영아에게는 충혈제거제로 생리식염수 비점적이 효과적이다. 찬 가습기는 상기도 분비물을 액화, 제거시킬 뿐만 아니라 자극된 점막을 진정시키며 기침을 감소시킨다.



★ 중이염(Otitis media)




-중이의 감염이다. 어린 아동에게 중이염이 많이 이환되는 이유는 이관 (eustachian tube)이 짧고, 넓고, 곧기 때문에 상기도 감염 후 균의 이동이 용이하다. 또한 체내 방어기전이 미숙하기 때문이다.

-이관의 기능은 중이의 환기, 비인두 분비물과 음압으로부터 의 보호, 중이에서 비인두로의 분비물 배액이다. 보통 이관은 닫혀 있으며 평평하고 중이의 분비물이 배액되는 동안에만 열린다.

-임상적 증상

·이통(earache)이 심하며 특히 음식을 씹을 때 더 증가한다.

·중이에 삼출물 축적으로 압력이 증가되어 고막이 저절로 터지면 통증은 완화된다.

·발열, 아픈 귀를 잡아 당기거나 비빈다.

-잠복기 : 상기도 감염후 4 - 7일

-치료

·적절한 항생제 치료 후 세균은 죽는다(3∼6주 정도). 중이의 삼출물이나 농이 흡수되면 청력도 향상된다. 6개월에서 2세 사이에 발생빈도가 높다. 만성 중이염은 감염이 2주 이상 지속되면 발생될 수 있다.

·tympanostomy tube는 중이로부터 삼출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중이에 삽입한다.

※tympanocentesis (surgical drainage of the infection to get a sample of pus for the laboratory to use in identifying the germ)

·myringotomy (surgical incision of the eardrum to release the pus): 약물치료로 호전증세가 없으며 고막이 팽창되었거나 심한 통증을 호소할 때 적용하며 수분흡인이나 배액을 촉진시키기 위해 실시한다.

-예방

·신생아는 모유수유를 통해 면역력을 강화시킨다.

·수유 후 이관이 기능을 할 수 있는 자세를 유지한다. (눕힌 상태에서 수유를 하지 않도록)

·호흡기 감염동안 코를 풀 때 양쪽 코를 막은 채 너무 세게 풀지 않도록 하며 한쪽 구멍을 막지 않도록 한다.




★ 편도와 아데노이드 질환(Tonsil and Ademoid Disease)




-편도선염은 구개편도의 감염을 의미하며 아데노이드염은 인두편도의 감염을 말한다.




-원인균: 가장 일반적인 세균으로는 group A b -haemolytic streptococci (GAb HS)로 아동의 50% 이상에서 발견됨. 이 균은 rheumatic fever 와 acute glomerulonephritis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 외에도 strep. pneumonia, haemophilus influenza와 staphylococcus aureus, diphtheria등이다.




-임상적 증상

·고열을 동반하며 목 부위의 통증이 있다.

·구개편도의 비대: 코골이, 치아의 부정교합과 같은 증상을 유발하게 되며, 코 뒤에 있는 아데노이드의 비대는 코막힘, 구강호흡, 코골이, 수면시 무호흡, 삼출성 중이염 병발 등의 심각한 비대증상을 유발한다. 심한 경우는 입으로만 숨을 쉬어야 하므로 항상 입을 벌리고 있게 되고 자다가 한참 동안 숨을 안 쉬기도 하며 이차적으로 집중력 저하나 발육부진 같은 문제를 가져올 수 있다.




-치료

·외과적 수술 : 수술은 단순히 편도가 크다거나 1년에 3-4회 정도 목감기가 있거나 하는 정도로는 하지 않는다.




-적응증

·소아의 경우 편도의 비대함 때문에 중이염이나 부비동 염이 자주 발생하거나 잘 낫지 않는 경우,

·편도 때문에 치열에 이상을 초래하는 경우, 잦은 편도선 염으로 발달에 지장을 줄 경우

·어른의 경우는 폐색증세가 있어 수면시 무호흡중후군이나 심한 호흡장애가 있을 때 시행함.




-수술시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편도의 크기는 감소할 수 있으므로 만 3세 이전에는 대개 수술하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

·수술후 인두점막 자체에 편도와 같은 방어기능이 있고, 수술은 편도의 존재가 이로운 점보다 해로운 점이 많다고 판단될 때 시행한다.

·수술시 주의할 점은 감염이 완전히 회복되고 나서 14∼21일이 경과한 후에 실시한다.(겨울, 봄에 주로 실시) Polio가 한 지 역에 유행할 때는 편도선 절제와 아데노이드절제술을 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편도선 절제 후 polio에 걸리면 연수형 polio가 되기 쉽기 때문이다.




-간호(수술 후 간호 )

·흡인예방: 배액의 분비를 촉진시키기 위해 머리를 약간 기울이고 윗 무릎을 구부린 복위나 옆으로 누운 자세를 취해준다. 흡인이 필요하면 구강인두의 손상을 피하기 위해 조심스럽게 행해져야 한다.

·출혈증상을 관찰: 수술로 인해 응고된 혈액과 같은 분비물과 구토물은 출혈여부를 알기 위해 세심하게 관찰되어야 한다. 빈맥, 창백과 연하의 빈발을 관찰한다.

·수술후 인후 통증을 완화: 얼음 목도리를 적용하면 통증이 완화된다. 아세타아미노펜과 같은 진통제를 규칙적으로 줄 수 있으나, Aspirin은 출혈의 위험 때문에 금한다.

·수분 및 음식섭취: 처음에는 찬물이나 과일주스를 주고 붉은 색이나 갈색의 액체는 구토시 혈액과 혼동할 수 있으므로 금한다. 빨대의 사용은 빠는 행동이 출혈을 촉진시키기 때문에 금하는 것이 좋다. 인공과즙은 천연과즙보다 자극이 적기 때문에 처음에 주고 그 후에 천연과즙을 주도록 한다. 우유, 아이스크림, 다른 유제품들이 목과 인후에 막을 형성하여 환아가 인후를 깨끗이 하기 위한 노력을 하여 출혈을 자극하므로 많은 수분이 공급될 때는 주지 않는다.




-퇴원교육

1) 자극적이거나 양념이 많은 음식은 피할 것

2) 지나친 칫솔질을 피할 것

3) 기침이나 인후를 깨끗하게 하기 위한 행동을 삼갈 것

4) 통증시는 경한 진통제나 얼음 목도리를 사용할 것




★ 급성후두기관지염 (Acute larygotracheobronchitis) : Croup




-후두개, 성문, 후두를 포함하는 복합적인 증상을 일컫는 용어로 쉰목소리, 개짖는 듯한 쉰소리의 기침, 흡기시의 천명음, 기도의 부종으로 인한 호흡장애로 특징지어진다.




-원인/빈도

: 크룹의 원인은 바이러스와 세균에 의한 것이 대부분인데 상기도 감염(성문 및 그 주위), 즉 바이러스성 크룹의 경우는 3개월에서 5세 사이에 가장 빈발하며, 후두기관지염의 가장 흔한 원인은 influenza virus, Adenovirus, RSV 등이다.

세균성의 경우는 Haemophilus influenza, staphylococcus 등이다.늦가을이나 겨울에 많이 발생한다.




-임상적 증상

·상기도가 염증으로 부어오르게 되면 목이 쉬고, 개 짖는 듯한 기침을 하게 된다.

·상기도가 점점 폐쇄하게 되면 호흡시 a high-pitched noise ("stridor") 이 나타난다.

·증상은 밤 동안이나 울면 더 심해진다.

·바이러스에 의한 크룹은 경하며 자연이 치유된다(self-limiting). 또한 "spasmodic croup"이라고도 한다. 이런 경우 밤중에 갑자기 증상이 나타나며 열은 없으며 5-6일 정도 지속된다.




-예방(Prevention): 바이러스성 크룹은 특별한 예방법이 없다.




-합병증: 중이염, 폐렴




-치료 및 관리: 후두근의 경련을 방지하며 폐쇄를 방지하는 것과 감염에 대해 적절히 치료하는 것이다.

·증상완화를 위해 따뜻하고 습한 공기를 흡입하도록 한다. cool-mist humidifier filled with warm water를 사용하여 습도를 높혀줄수 있다. 욕실에서 뜨거운 샤워 스팀을 사용할 수도 있다(약 10정도). 크룹텐트 활용

·흡연은 기침을 자극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경한 크룹인 경우는 치료가 필요 없으나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전문적인 치료를 받도록 한다.




*difficulty breathing

continuous stridor

drooling or difficulty swallowing

difficulty bending the neck

decreased consciousness

high fever

very sick appearance

or other worrisome sign or seems particularly ill.

·Epinephrine은 효과적인 아드레날린성 제재로 기관지 확장과 혈관수축을 통한 부종감소로 산소화를 증가시키는 작용이 있다.

·기관내 삽관 기관절개술(Tracheotomy) : 피부표면에서 기관의 안쪽으로 구멍을 내어 호흡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외과적 처치 방법




※Tracheostomy: The opening between the skin and the trachea (the "stoma")

·Tracheotomy의 적응증

: Upper airway obstruction (like facial trauma, epiglottitis, laryngeal trauma, etc.)

Prolonged intubation

Bronchopulmonary toilet

·tracheotomy의 set

·영구적인 tracheostorm




-방법: 응급으로 기도유지를 해야 하므로 신속하고 기도를 찾아 개구를 해야 한다.

1)구강 혹은 비강으로 endotracheal intubation을 삽입한다.

2) 세심한 확인과 출혈을 조절한다.




-주의점 : 소아에게 tracheotomy를 할 때 몇 가지 고려할 점이 있다.

1) Cuffed: (cuff는 흡인은 감소하지만 기관벽을 압박할 수 있다)

2) Inner cannula: (제거할 수 있으며 튜브가 막히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3)Fenestrated: (말을 할 수 있도록 성문과 상기도를 통해 airflow 를 위한 구멍을 내어 만듬)

*24시간 내에 cuff를 뺀다.

*관이 형성되면 5일에 한번씩 튜브를 교환한다.

*습도를 높혀준다.

*적어도 매일 내관을 제거하고 청결하게 해준다.




-합병증: 초기에는 혈관, 식도, 후두의 신경조직의 손상 등이 우려되며 후기에는 튜브가 막히거나, 케뉼라의 제거가 지연되고 그로 인해 stoma가 생길 수 있으며 세기관지 혈관들의 출혈 등이 있을 수 있다.



★ 세기관지염 (Bronchilotis)




-원인: Respiratory syncytial virus(50% 이상), parainfluenza 3 virus, mycoplasma, adenovirus등

-빈도: 6개월에서 2세 사이에 가장 많이 발병하며 겨울과 초봄에 여아보다 남아에게 더 잘 발생한다.

-병태생리: 점막부종과 더 작은 세기관지에서 탈락된 세포의 축적으로 염증성 페쇄를 초래한다. 그러면 세기관지벽이 두터워져 공기유통이 힘들어지고 특히 호기시 공기저항이 커진다.



-임상증상

·장액성 비강분비물과 재채기를 동반하는 상기도 감염 증세를 보인다.

·식욕저하, 고열, 발작적인 재채기, 기침

·심한 경우에는 빈호흡(80회/분)과 심한 공기 결핍증세인 흉부견축, 청색증, 비익확장, 지연된 호기와 함께 천명이 나타난다.

·아주 심한 경우에는 모세기관지 폐색이 완전하게 일어나서 호흡 음을 들을 수 없으며 무기폐너 폐포의 염증 반응이 일어난다.

-치료적 관리: 일반적인 대증요법 즉 안정, 수분공급. 습도조절 등 세기관지의 내강을 넓히는 기관지확장제, 부신피질호르몬제, 항생물질을 사용한다.




★ 기관지염 (Bronchitis)




-기관지는 호흡기계중 하부기도로써 일반적으로 급성 감염이 잘 안 생긴다. 그러나 급성 상부기도 감염상태를 조기에 치료하지 않아 장기간 지속되면 기관지염이 발병하기도 한다.




-원인: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주된 감염원인 급성 기관지염과 흡연, 암모니아, 카드뮴 같은 중금속, 각종공해물질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만성기관지 염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급성기관지염을 일으키는 병원체로써 세균성인 경우에는 인플루엔자 간균과 폐렴균이 흔하나 때때로 결핵균도 있다. 바이러스성인 경우에 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라이노바이러스, 에코바이러스, 아데노바이 러스, 헤르페스바이러스 등이다.




-증상과 진단 : 초기에 기침과 발열증상이 있은 후 점차 기침이 심해지고 인두의 경련과 부종을 동반한다. 호흡곤란.




-합병증: 적절한 치료가 안되면 모세기관지염, 페렴으로 진행된다. 만일 폐렴으로 진행하게 되면 발열, 기침, 탈수, 호흡곤란, 늑막동통 등을 초래할 수 있다.




-진단적 소견 : 이학적인 소견과 병력, 혈액검사로 세균감염 등을 확인하거나 세균배양검사나 면역학적 혈청검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예방과 치료 : 급성기관지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1)급성상기도감염에 이환되지 않도록 인두염과 후두염의 예방책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

2)상기도감염에 이환되었을 경우에는 급성기관지염으로 진행되지 않도록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해야 한다.

·급성기관지염의 치료는 발병원인과 증상에 따라 치료를 해야 하며 세균이나 바이러스성인 경우에는 병원체에 따라 항생제나 항 바이러스치료제를 선택적으로 사용한다.

·고열을 동반할 때에는 해열제를 사용한다.

·기관지 폐쇄증세가 있거나 가래가 많을 때에는 기관지확장제를 쓴다.

·기침이 심할 때에는 기침을 줄이기 위하여 진해제를 사용할 수 있다.

·진해제 사용시 코데인(마약)이 포함된 것은 금하고 잠을 이룰 수 없을 정도로 기침발작이 심한 경우에는 선택적으로 사용한다.

·일반적인 대증요법으로는

①안정을 취하고 충분한 영양섭취를 한다.

②수분섭취를 늘이고 실내습도를 적절히 유지할 수 있도록 가습기를 사용한다. 이때 가습기의 물통은 청결히 청소하여 깨끗한 물을 사용하여야 하며 세균, 곰팡이, 먼지 등이 오염되지 않도록 유념해야 한다.

③호흡기계의 공통 대증요법인 흡연은 절대 삼가야 하고 간접 흡연도 피해야 한다.




★ 폐렴(Pneumonia)




-폐의 조직에 병원체가 침입하여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병원체의 종류와 염증의 범위에 따라 경과는 다르다. 염증의 범위와 발병장소에 따라 기관지 폐렴, 간질성 폐렴, 대엽성 폐렴 등으로 나누고, 병원체의 종류에 따라 세균성 폐렴, 바이러스성 폐렴 등으로 분류한다.




-원인균: 폐렴구균, 인플루엔자바이러스,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등 개인의 건강상태에 따라 균에 대한 저항력이 다른데 일반적으로 저항력이 약해졌을 때 폐렴에 걸린다.




-임상적 증상: 고열, 오한, 호흡곤란, 흉통, 전신권태, 식욕부진, 두통, 누렇고 탁한 가래가 나오고 피가 섞여 있을 수도 있다. 심해지면 폐기능의 저하로 호흡곤란이 나타난다.




-치료 및 관리: 항생물질, 기관지확장제, 거담제, 산소요법




★ 급성 인두염(Acute pharyngitis)




-급성 인두염은 편도선염과 인두편도선염을 포함하는 인두내의 구조들에 대한 염증이다.




-원인: 급성 인두염의 원인은 바이러스감염, 피로, 대기의 건조, 위장장애, 지나친 흡연, 치아에 낀 치석, 먼지, 유독가스의 흡입 등이다.

·만성 인두염의 원인은 급성인두염의 재발이나 만성편도염, 입 호흡, 지나친 흡연, 과음, 부적당한 기후, 위산 역류성 등이다.




-임상적 증상: 식욕부진, 미열, 인두에 이물감과 건조감이 느껴지고 동통, 연하통이 있다. 만성인두염은 인두에 이물감과 건조감, 그리고 가벼운 통증이 있으며 기침이 나고 목이 쉬기도 한다.

※<인두염>

-치료 및 관리: 항생제 투여, 인후의 불편감 완화 ;차갑고 부드러운 액체 섭취, 목의 온찜질, Acetaaminopen 투여




★ 천식(Asthma)




-호흡시 쌔액쌔액 하는 소리가 나는 천명과 호흡곤란이 발작적으로 되풀이되다가 몇 시간 후에 가라앉았다가 다시 재발하는 질환이다.




-원인: 알레르기설, 자율신경 실조설, 내분비조절 이상설 등




-병태생리(pathopsyiology)

·천식환자의 기도내부에서 3가지의 변화가 발생한다.

1)inflammation (or swelling): 기도내 조직은 쉽게 감염이 된다(발적, 자극, 부종). 기관지 점막의 부종으로 두꺼워진다.

2)constriction: 기관지 경축은 외부자극에 대한 정상적인 반응인데 천식 환자에게는 이 반응이 매우 심해 기도가 심하다. 기도 평활근이 기도를 좁히고 짧게 하여 공기흐름에 대한 기도의 저항을 증가시킴(bronchospasm,bronchocontriction).

3)sensitivity : 공기의 변화, 공해, 담배연기, 감기, 찬 공기 등에 극도로 예민하게 반응한다.

·천식발작은 기도가 inflammation, constriction, and sensitivity으로 악화될 때 발생된다. 부종으로 두꺼워진 점막은 기도를 폐쇄시키고 호흡이 힘들어지게 된다. Whistling or wheezing sounds이 들리기 시작하며 가슴이 조여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임상적 증상

·천식발작은 주로 밤에 잘 일어나고 새벽이면 완화되며 여자보다 남자의 발병율이 더 높다.

·집에서 흡연하는 어른이 있을 경우 아이에게 잘 생긴다. 기침, 재채기를 하다가 호흡곤란과 천명 증세가 나타난다. 발작이 일어나면 가슴에 압박감을 느끼고 얼굴이 창백해지며 식은땀을 흘리고 맥박이 빨라진다. 그러다가 발작이 멎으면 담이 나오고 호흡이 편해지면서 천명이 가라앉는다. 대부분 숨을 들이쉴 때보다 내쉴 때가 어렵다.(coughing - wheezing)

·반복되는 짧은 호흡

·호흡곤란, 빈호흡, 늑간함몰




-치료, 관리: 대증요법과 발작이 일어나는 것을 미리 방지하는 근본치료가 있다.

·대증요법에는 기관지확장제, 부신피질호르몬제 등이 쓰이며,

·근본치료에는 항원을 파악한 다음 그 항원에 대해 알레르기 증세를 일으키지 않게 만드는 탈감작요법이 있다. 내복약보다 흡입제가 부작용도 적고 효과적이나 올바른 사용법을 알아야 한다.

·기관지 천식 환자는 충분한 휴식과 규칙적인 생활이 중요하다.

·실내 공기를 청결하게 유지하고 술과 담배를 금해야 한다. 특히 담배 연기는 기관지를 자극하므로 본인은 물론 주위사람들도 피우면 안 된다. 집안먼지가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항원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먼지를 없애고 항상 청결을 유지해야 한다. 특히 침구를 자주 털고 일광소독을 해야 한다. 운동은 수영이 좋다.




·사용하는 방법

1)뚜껑을 연 후, 그림과 같이 흡입기를 쥐고 충분히 흔들어 준다.

2)똑바로 서서 천천히 숨을 내쉰다.

3)흡입구를 입 속이나 입 바로 앞에 대 놓고, 그림과 같이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을 세게 누르면서 천천히 숨을 깊게 들이마신다. (휘슬을 이용 삐소리가 날 때 집게손가락으로 누르면 쉽게 사용할 수 있다)

4)흡입기를 떼고, 약 10초간 숨을 멈춘 다음 숨을 내쉰다.



-면역요법 : 알레르기 증상을 일으키는 알레르겐이 피부반응검사나 혈액 검사로 확인된 경우에 실시한다.

·치료의 목적: 환자의 증상을 가능한 한 없애주고 될 수 있는 대로 약을 적게 먹으며 면역치료 주사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데 있다. 적용은 환자의 증상과 알레르기 과민성의 정도에 달려 있다.

·방법: 증상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소량의 알레르겐(꽃가루, 집먼지 진드기, 곰팡이, 동물의 비듬, 벌독)을 주기적으로 양을 늘려가며 주사하여 면역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즉 이는 치료 백신으로 들어 간 원인 알레르겐이 몸 안의 특수항체와 결합하여 차단 항체를 형성한다. 그런 후 많은 양의 원인 알레르겐이 들어와 알레르기 증상이 일어날 때 아주 소량의 원인 알레르겐을 치료 백신으로 투여하면 증 상없이 항원-항체가 결합되고 그 부위에는 다른 큰 알레르겐이 들어와도 결합할 수 없는 것이다.




·치료기간: 보통 3∼4년 정도 투여한다.

·주의사항

:정해진 스케쥴을 가능한 한 지켜야 한다.

부작용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담당의사에게 알린다.

국소반응으로는 주사부위가 붓고 가려움증이 있고 전신 반응으로는 천식이나 비염 증상으로 재채기, 눈 가려움, 두드러기, 목의 가려움, 쇼크등이 주사후 20분 이내에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잘 관찰하도록 한다.

·금기증: 화농성 비염, 부비동염, 기관지염 같은 세균감염은 치료가 된 후에 실시하며 임신, 결핵, 아주 심한 호흡 장애, 백혈병, 암 같은 면역 결핍 질환, 쇼크 같은 응급상황 때에는 혈압을 올 리는 약을 써야 하는데 고혈압 환자에게는 이런 약을 쓸 수 없으므로 고혈압 환자의 경우에도 실시하지 않는다.




-천식의 약물치료

1)Corticosteroids : anti-inflammatory agents with steroid

·점막의 거대세포의 수를 감소시키며, beta-adrenergic receptor sensitivity를 증진시키며, 염증성 반응을 억제한다.

2)Anti-inflammatory agents without steroid

·Nedocromil sodium : 염증성 반응을 억제하며, eosinophils, mast cells, platelets, neutrophils를 억제한다.

·Cromolyn sodium : 염증반응에 활동적인 화학물질의 유리를 억제하 고 기도의 과반응을 감소시키다.

3)beta-agonists: bronchodilators로 beta2-receptors를 자극하며, 기관지 평 활근 이완 및 폐 내 염증반응 저하시킴. 심장근육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으나 폐의 근육에는 특별히 효과적인 반응을 나타 낸다(약효가 아주 빠름 : 흡입제).

4)xanthines(Theophylline) : bronchodilators 로 기관지 평활근을 이완시켜 기도가 정상적으로 확장하도록 한다. Theophylline은 구강으로 투여

5)Anticholinergics : 기관지 평활근의 수축을 방지한다.

6)Antiallergics(Antihistamines) :히스타민은 강한 기관지 수축제인데 cromolyn sodium 은 mast cell 로부터 histamines 의 배출을 막아서 천식이 갑작스럽게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cromolyn sodium 은 항 histamines으로 생각되어지지는 않는다. 그 이유는 일단 histamines 이 세포로부터 방출되면 cromolyn sodium은 histamines 의 작용을 막을 수 없기 때문이다. 유사하게 cromolyn sodium 은 일단 중개자가 방출되면 염증이 발생되는 것을 되돌릴 수 없을 지라도 mast cell로부터의 염증의 중개자가 방출되는 것을 막아서 염증 반응을 막는다.




★ Cystic fibrosis(낭포섬유 증식증)




-만성 페질환, 췌장 효소결핍과 비정상적인 고농도의 땀분비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유전적 결함 즉 상염색체 열성 유전질환으로 7th 염색체에 유전인자가 위치해 있다. 미국내에서 가장 일반적인 genetic defect 질환이다.




-병태생리: 낭포섬유증식증 환아는 만성적인 폐의 문제와 소화기계 질환으로 고통을 겪는다.

·폐: 폐가 끈적끈적한 점액(sticky mucus)으로 덮여 있어 제거하기 힘들 며, 세균의 감염을 증진시킨다.

·소화기계: 췌장의 외분비선을 침범하면 진한 분비물로 막히게 되며 도관들이 확장되고 후게에는 정체된 단백분해 효소에 의해 자가소화가 동반됨으로써 산재성 섬유증이 된다. 췌장의 분비효소의 부족은 흡수장애, 단백과 지방의 과잉배설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애를 초래한다.

·땀 속에 염분(NaCl)의 상승이 있다.




-임상적 특성

·태변성 장페색증(약15%): 태변이 장을 막고 있는 상태로 항문을 통해 배출되지 않는다. 몇 시간 내에 수술로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할 위급한 상태이다.

·위장계: 양이 많고 거품이 있고, 악취가 나는 대변, 성장발육 부진

·지용성 비타민 ADEK의 결핍, 빈혈

·호흡기계: 호흡곤란, 발작적인 기침, 페쇄성 페기종, 산재성 무기폐, 폐포의 과도팽창에 의한 술통모양의 가슴, 청색증, 곤봉상 지두, 반복되는 기관지염과 지관지 폐렴.



-임상적 증상

·양이 많고 거품이 일고 냄새가 고약한 대변(Greasy, bulky, foul-smelling stools)이 배출된다. 이유는 췌장의 효소가 결핍되어 적절히 소화가 되지 않아서이다.

·반복되는 호흡기 질환 : 호흡기계에서 많은 양의 분비물이 배출되는 그 이유는 호흡기계에서 양이 많고, 두텁고, 끈끈한 분비물이 축적되어 배출할 수 없어 자주 감염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빈번한 기침, Wheezing, 비울혈(만성적인 부비동염과 폴립)

·감염 : Pseudomonas aeruginosa

·짠 맛이 나는 땀

·수술이 요구되는 Nasal Polyps

·쉽게 탈수된다.

·체중감소(흡수장애, 빈번한 감염으로 인해)

·위통(Stomach aches)

·비타민 부족증(흡수장애로 인해)

·직장탈수(드뭄)




-치료 및 관리: CF환자의 약 50% 정도가 30세 전후로 사망하게 된다.

①폐치료(lung treatment): CF에서 폐의 손상은 가장 위험한 증상이다. 따라서 감염을 조절하고 예방해야 한다. 손상이 너무 커지면 기능을 할 수 없게 되어 유일한 치료방법인 간이식을 시행해만 한다.

·호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Aerosols을 사용하거나 체위배액, 흉부물리치료로 폐로부터 점액을 제거하는데 도움이 된다.

·낭포섬유 증식증 환자는 빈번한 입원을 필요로 한다

②소화기계 치료(digestive treatment)

·항생제, 효소 보충제( pancreatic enzyme supplement), 기타 약물 투여를 한다.

·고칼로리 식이, 스낵등을 섭취하도록 한다.

③ 새로운 치료 접근법




★ 결핵(tuberculosis)




-결핵균이 폐에 만성 염증을 일으키는 병으로 결핵의 특성은 빈곤하고, 낮은 사회경제적 상태에 있는 사람, 군집한 장소, 허약한 건강상태 등에서 높은 발생율을 나타낸다.




-원인균: Mycobacterium tuberculosis으로 특성은 아주 느리게 자라고 몸에 들어와서 병을 일으킬 때 까지 기간이 길며 산소가 많은 곳을 좋아한다. 결핵균은 늑막염, 뇌막염, 신장염, 관절염, 척추염, 난소염, 복막염, 장염, 피부결핵, 임파선염 등 여러가지 병을 일으킬 수 있지만 가장 흔한 것은 폐결핵이다.




-빈도: 1/100명(1995)

우리나라는 6.25 전쟁 전후 열악한 주거환경과 식량이 부족하여 국민 영양상태가 극도로 나뻤을 때는 결핵이 전국적으로 창궐하다시피 하였다. 그러나 경제 사회적 상태가 좋아진 후 생활여건이 향상되어 결핵환자의 수가 점차로 줄어드는 추세이지만 연간 144,000명의 환자가 발생하고 매년 약 3,500명 정도가 결핵으로 사망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1993년 WHO는 세계인구의 약 1/3이 결핵균에 감염되었다고 하였다. 매년 800만명(선진국 40만명, 개발도상국 760만명)의 새로운 환자가 발생하고 260만명이 결핵으로 사망하고 있다. 이처럼 결핵은 단일 유지체로 세계에서 가장 으뜸가는 높은 치사율을 보이는 질환이라 할 수 있다.




-Tuberculin Skin Test

·Mantoux technique으로 5 tuberculin unit (TU)를 준비하여 전박내측에 피내주사를 한다.

·48-72시간에 경결(induration)이 있는가를 확인한다.

·4mm이하이면 음성이다

·5-9mm이면 위음성으로 임상적으로 결핵환자로서 의심이 가는 결과이다. 10mm 이상이면 양성으로 결핵에 감염되었음을 의미한다. 과거에 BCG접종을 받은 경우에도 양성으로 나타난다. 1세 이하의 어린이는 활동성 결핵이 있음을 의미하며, 속립결핵이나 결핵성 뇌막염이 잘 합병되므로 예후가 좋지 않는 경우도 있다. 1-3세 아동은 대개 활동성 결핵을 의미하며 감염원으로 격리 치료하면 예후는 좋다. 4세 이상은 과거의 감염을 의미하나 활동성일 수도 비활동성일 수도 있다.

·위음성인 경우

: 양성인 사람도 홍역, 전염성 단핵구증, 기타 바이러스 감염, 성홍열, 백혈병 등을 앓고 있을 때,속립결핵 혹은 결핵성 뇌막염의 경과 도중
ACTH, corticosteroud투여 및 기타 면역기전을 억제하는 치료시 주사방법이 잘못 되었을 때,Isoniazid로 치료했을 때,심한 영양실조, 탈수증, 급성 열성 질환이 있을 때




-임상적 특징: 초기에는 감기 증세를 나타내다가 점차 그 증상이 심해진다.

·기침: 원인 모르게 3주 이상 지속되면 검사를 해야 한다.

·가래: 갈수록 양이 많아지며 색깔은 처음에는 맑다가 점차 누렇게 변하며 가래에 피가 섞여 나오기도 한다.

·미열, 불쾌감, 피로, 체중감소, 가슴의 통증




-Screening and Prevention of Tuberculosis

①태어나자 마자 BCG접종을 한다. 고위험군에는 특별한 관심과 주의를 기울인다.

②Tuberculin test에서 양성으로 나온 사람은 Chest X-ray를 찍도록 한다. 만약 그결과가 비정상적으로 나오면 sputum cultures를 하여 활동성인지를 확인한다.

③예방적인 치료로 INH를 6 -12개월 정도 치료한다.




※독성(toxicity)

·Hepatitis인데 이를 모니터하기 위해 매달 증상을 확 인하고 필요시에는 간염검사를 실시한다.

·Peripheral Neuropathy(1%이하): pyridoxine (B6) 10-25 mg/day으로 예방할 수 있다.

④결핵환자 교육: 보호자에게 균의 내성 및 약물요법의 특성을 잘 설명한다.




-치료 및 간호

·주의할 점

: 결핵균의 특성은 활동이 활발하지 않기 때문에 균의 숫자가 늘어나도 하루사이에 증상이 뚜렷하지 않아 활동적인 균에 치료하기가 더 어렵다. 활동성이 활발하지 않은 균은 약을 써도 잘 죽지 않는 생명력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어도 6개월이나 9개월 이상 치료를 해야 한다.

치료를 시작하면 곧 증상이 호전되지만 결핵균이 완전히 죽지 않기 때문에 약물투여를 중단하면 결핵균은 곧 다시 활동성으로 변화하면서 더 악화될 수 가 있으므로 철저한 치료가 요구된다. 결핵균은 약물에 대한 내성이 잘 생기므로 동시에 2-3가지의 혼합약물치료를 해야 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