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1월 26일 수요일

[펌]승수이론 [乘數理論, theory of multiplier]

요약
한 경제변수의 변화가 직접 ·간접으로 효과를 순차적으로 파급, 경제체계 전체를 새로운 수준으로 유도할 때 나타나는, 다른 경제변수의 변화에 대한 배수관계.

본문
경제현상에서 어떤 경제량, 예를 들면 투자의 증가(감소)가 파급적인 효과를 낳아, 궁극적으로는 처음의 몇 배나 되는 증가(감소)를 가져오는 경우가 있다. 승수이론은 최초의 경제량의 변화가 최종적으로 낳게 되는 총효과, 즉 승수효과의 크기를 분석하고 이론화한 것의 총칭이다. 일반적으로 독립변수의 변화가 종속변수인 경제변수에 주는 한계적 효과를 승수효과라고 한다.

이 승수효과에 관한 착상과 정식화(定式化)는 R.F.칸에서 시작되었다. 그는 고용량의 제1차적 변화는 제2차, 제3차…의 고용증가로 파급된다는 사실에서 고용승수를 정식화하였다. 그러나 이론체계의 중추부분에 승수이론을 도입한 것은 J.M.케인스였으며, 이에 따라 승수이론의 지위도 비약적으로 제고되어 이후의 다채로운 전개의 기초가 구축되었다.

케인스의 승수는 투자증가와 그 결과인 소득증가 사이의 투자승수이다. 예를 들어 100억 원의 투자증가가 있으면 100억 원의 소득증가가 발생하는데, 이 소득증가는 한계소비성향(ΔC/ΔY=c=0.6)에 따라 60억 원의 소비재 수요를 낳는다. 이 소비재 수요로 소비재 생산이 행하여지고, 이에 따라 60억 원의 소득증가가 발생하는데, 이는 다시 c배의 소비재 수요를 낳는다. 위 도표와 같은 파급이 일어나 소득증가의 누계는, 100×(1+0.6+0.62+0.63+…)=250

이처럼 투자승수의 값을 결정하는 것은 한계소비성향이다. 그 후 승수이론은 다채로운 전개를 보였으며, 승수의 개념도 다양하게 갈라져 나갔다.

피승수(被乘數)를 바꾼 소비승수 ·무역승수, 가속도원리를 가미한 복합승수, 이론체계가 정학(靜學)이냐 동학(動學)이냐에 따른 정학승수 ·동학승수, 나아가 다부문(多部門) 이론에서의 매트릭스 승수 등 다방면에 걸쳐 근대경제학 분석에 이용되고 있다.

------------------------------------------------
feedback 회로의 새로운 평형점을 계산하는 건가보다.
미방이나 matrix를 풀면 쉽게 계산 될듯.

댓글 없음:

댓글 쓰기